•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유진 시 연구-생태시 지평과 <청포도>의 문학사회학 (A Study on Kin Yu-jin’s poetry-―A Horizon of Ecological Poetry and Literary Sociology of Cheongpod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김유진 시 연구-생태시 지평과 &lt;청포도&gt;의 문학사회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문학과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환경 / 19권 / 4호 / 3 ~ 35페이지
    · 저자명 : 남기택

    초록

    김유진은 <현대문학> 1955년 6월호에 1회 추천, <현대문학> 1968년 9월호에 2회 추천, <현대문학> 1969년 2월호에 3회 천료한 시인이다. 김유진의 문단 활동은 1950년대 초반 ‘청포도동인회’로부터 비롯된다. 김유진은 황금찬, 최인희 등과 더불어 청포도동인회를 결성하고, 동인지 <청포도>를 한국전쟁기인 1952년과 1953년에 걸쳐 2호까지 발간하였다. 지극한 과작의 활동 경향으로 일관한 결과 생전에 간행한 시집은 <산계리(山溪里)>가 유일하며, 유고시집으로 <찬란한 봄맞이>가 간행되었다. 김유진 시에 대한 기존 논구로는 시인의 고향 지역에서 형성된 담론장에서 부분적인 접근이 파악되는 정도이다. 김유진 시세계가 지닌 의미와 문학사적 위상은 특히 관련 지역의 문학장에서 제도화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유진 시세계에 대한 학술적이고도 본격적인 분석 사례라 부족한 현실은 문제적 현황이 아닐 수 없다. 김유진의 전기 시세계는 지역적 특성인 자연의 소재에 주목하면서도 나름의 형식적 개성을 향한 문학적 자의식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전형적인 리리시즘의 성격을 지니는 동시에 지역과 장소성에 근간한 미의식적 기반 역시 김유진 초기 시세계의 특징적 요소이다. 김유진 후기 시세계를 관류하는 산계리의 상징은 일종의 시적 헤테로토피아를 지시한다. 김유진 시는 자신의 고향이나 강원권 천혜의 공간 요소를 이상적 장소로 전유하고 있는 것이다. 고향 인근을 위시하여 강원권 자연이라는 근원적 장소는 그의 시세계에서 문학적 헤테로토피아에 유비된다. 김유진의 문학 활동은 청포도동인회 회원으로서 강릉을 위시하여 오늘날과 같은 강원 영동권 문단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회학적 의미를 지닌다. <청포도>의 존재는 일회적이고 우연한 일화가 아닌, 전후 강원권 문단을 형성하고 주된 성격을 구성하는 문학사적 사건이었다.

    영어초록

    Kim Yu-jin’s literary activities began in the early 1950s from the Cheongpodo literary coterie. Kim Yu-jin formed the Cheongpodo literary coterie along with Hwang Geum-chan and Choi In-hee, and published up to No. 2 during the Korean War in 1952 and 1953. As a result of being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activities of extreme work, the only collection of poetry published during his lifetime was Sangye-ri, and Challanhan Bommaji was published as a collection of poetry. As for the existing arguments on Kim Yu-jin’s poem, a partial approach is understood in the discourse field formed in the poet’s hometown. The meaning and literary history of Kim Yu-jin’s poetry have been institutionalized, especially in the literary field in the relevant region. Nevertheless, the lack of an academic and full-fledged analysis of the poetic world of Kim Yu-jin is a problematic situation.
    Kim Yu-jin’s biographical poetry fully shows literary self-consciousness toward his own formal personal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subject matter of nature, which is a regional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lyricism, and the aesthetic foundation based on regional and place is also a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poetic world in Kim Yu-jin’s early days. The symbol of Sangye-ri, that permeates the late poetry world of Kim Yu-jin indicates a kind of poetic heterotopia. The poem of Kim Yu-jin appropriates his hometown or the blessed space elements of the Gangwon region as an ideal place. The original place of nature in the Gangwon region, including the neighborhood of his hometown, is compared to literary heterotopia in his poems.
    Kim Yu-jin’s literary activities have an important literary and sociological meaning in that h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literary group in the area of ​​Gangwon, including Gangneung, as a member of the Cheongpodo literary coterie. The existence of Cheongpodo was not a one-time and accidental anecdote, but a literary historical event that formed the post-war period in the field of Gangwon regional literature and constituted the main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