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의 심상과 감각 전이 연구-박수근 그림 형상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and Sensory Transference of Poetry-With a focus on Bildgedicht(picture poem) using the paintings of Park Soo-keu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2
44P 미리보기
시의 심상과 감각 전이 연구-박수근 그림 형상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77호 / 209 ~ 252페이지
    · 저자명 : 조수윤

    초록

    시와 회화는 두 장르가 가지고 있는 유사성 때문에 상호 연관성에 대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끊임없이 언급되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예술 장르 간 상호매체성에 대해 이야기해왔고, 실제 예술에서도 다수 발생했다. 그중 하나가 박수근과 그의 그림을 제재로 한 현대시이다. 박수근은 우리 민족이 가장 어려웠던 시절의 여성, 나무, 시골의 소박한 정취를 질박한 마티에르 기법을 사용하여 그려서 지금까지 대중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인들이 박수근 그림을 감상하고 쓴 형상시를 대상으로 그림의 시각적 요소가 시에서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이 다섯 가지 감각을 기반으로 한 심상으로 감각 전이되는 양상과 효과에 관하여 분석했다.
    시각적 심상의 경우, 그림의 시각적 요소를 보고 감상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나타날 수밖에 없으며, 시각적 심상만 드러날 때에는 회화의 시각 요소에 한정되어 시상을 전개하는 경향이 있다.
    청각적 심상은 대상으로부터 파생된 소리를 통해서 감각하고, 후각적 심상은 대상으로부터 파생된 냄새로 감각한다. 시인은 그림의 시각적 요소를 대상으로 하여 소리와 냄새를 상상하여 시로 감각 전이시켜 심상으로 나타낸다. 이때 보이지 않는 소리와 냄새는 시인의 상상이나 과거 체험을 바탕으로 나타난다.
    미각적 심상은 후각적 심상보다 강한 인상을 주는 경향이 있다. 후각은 비접촉 감각이지만 미각은 접촉감각이기 때문이다. 특히 입 안으로 감각하기 때문에 다른 감각들과 달리 체내침투력이 있어서 짧게 나타나더라도 강렬하다.
    촉각적 심상은 피부로 느낀 것처럼 표현한다. 상상과 결합하여 그림의 화풍이나 화법을 표현할 때 적용된다. 특히 박수근 회화는 마티에르 기법으로 인해 그림 자체의 돌 같은 질감이 나타나는데 시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가장 많은 시편이 시각적 심상과 촉각적 심상으로 나타난다.
    심상은 그림의 시각 요소로부터 촉발되어 시인의 견해와 개인적 경험이 보조관념이 되어 다섯 가지 감각으로 나타난다. 심상의 범위가 그림에 한정되지 않고 시인의 개인적 경험, 그것을 넘어 상상으로까지 묘사된다. 시에 등장하는 심상은 시인에 의해 그림에 새롭게 부여된 감각이자 의미이다. 형상시는 눈으로만 감각하는 시각 예술인 회화의 한계를 시인의 감상과 해석을 오감각 심상을 통해 다층적으로 확장함으로써 문학 영역뿐만 아니라 예술적 감각 확대를 꾀한다.

    영어초록

    Because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genres, poetry and painting have constantly mentioned the interrelationship, in both East and West,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Korea has also discussed the intermediary between art genres; many have occurred in actual art. One of them is the modern poem using Park Soo-keun and his paintings as its topic. Park Soo-keun is an artist who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public until now by drawing the austere atmosphere of women, trees, and the countryside in the most challenging times of Korean ethnic communities using the harsh Matière techniqu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atterns and effects of the visual elements of the painting being transferred from poetry to images based on the five senses - visual, auditory, olfactory, gustatory, and tactile - for the Bildgedicht that poets wrote and appreciated Park Soo-keun's paintings.
    Visual images are bound to appear the most because poets see and appreciate the visual elements of the painting. When only visual images are revealed, they tend to present poetic concepts by being limited to the visual elements of the painting.
    The auditory image is sensed through sound derived from the object, and the olfactory image is sensed by the smell derived from the object. The poet imagines sounds and smells by targeting the visual elements of the picture, transfers the senses to poetry, and displays them as images. At this time, the invisible sound and smell appear based on the imagination or past experiences of the poet.
    Gustatory imagery tends to give a stronger impression than olfactory imagery. This is because the sense of smell is non-contact, while the sense of taste is contact. Unlike other senses, it has penetrating power in the body since taste senses in the mouth, so even if it appears short, it is intense.
    The tactile image is expressed as if it were felt by the skin. It is applied when expressing the painting style or drawing technique in combination with imagination. In particular, the Park Soo-keun painting has a stone-like texture of the painting itself due to the Matière technique, which stimulates the curiosity of poets, and the most frequent poetical works appear in visual and tactile images.
    The visual element of the picture triggers the image while the poet's view and personal experience become auxiliary concepts, and the image appears in the five senses. The scope of the image is not limited to the picture but is described as the poet's personal experience and beyond imagination. The image appearing in poetry is a sense and meaning newly assigned to the painting by the poet. Bildgedicht seeks to expand artistic senses as well as literary areas by multi-layeredly expanding the limitation of painting, which is a visual art that only senses with the eyes, through five-sensory i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