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병란 시세계에서 제1시집 『문병란시집』의 위상 재고(再考) - 『문병란시집』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 ―Focusing on criticism of existing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literary statu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06
21P 미리보기
문병란 시세계에서 제1시집 『문병란시집』의 위상 재고(再考) - 『문병란시집』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68호 / 7 ~ 27페이지
    · 저자명 : 김미미

    초록

    ‘민중’ 혹은 ‘참여’라는 키워드로 대변되는 문병란의 시세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그의 제1시집인 『문병란시집』을 (무)의식적으로 은폐 혹은 배제하고 있었다. 본고는 그와 같은 문제적 상황을 확인하고, 그의 시세계에서 『문병란시집』이 놓여 있는, 혹은 놓여 있어야 할 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자의식과 언어적 형상화에 치중한 제1시집의 작품들은 그동안 별개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었지만 그의 문학적 토대가 전후문학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경우 작품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평가의 과정에는 한국 전후문학과 실존주의 수용이 지닌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1950년대 한국문학에서 실존주의는 전후의 불안의식을 내재화하면서 자의식을 탐구하는 형태로 모더니즘과 결합하여 수용되면서도 실존주의 문학이 가진 정치성이 이후 참여문학으로 나아가게 되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기 때문이다. 결국 문병란이 제1시집에서 보여주었던 모더니즘적 면모와 제2시집 이후의 시세계에서 보여주었던 참여적 면모는 모두 전후문학과 실존주의라는 동일한 문학적 토대를 두고 발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existing studies on the poetic world of Moon Byeong-ra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keyword of 'people' or 'participation,' have (un)consciously concealed or excluded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 his virgin poetry. This paper try to diagnose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and suggest a place properly or a place where should be placed in the literary world.
    Most of the studies have classified and judged the works in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문병란시집』] as exceptional, and placed the second poetry Justification[『정당성』] at the beginning of the poem world. Then, looking at the fact that this paper tried to draw the topographical map of the literary world, the work of clarifying the poetic difference against the poetry of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 and Justification can provide clues to solve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The works of the first collection of poetry focused on self-consciousness and linguistic formations were regarded as having a tendency to be different from other poems after that. However, given the apparent fact that Moon Byeong-ran's literary foundation lies in postwar literature, the evaluation of the first collec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process of reevaluation,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specificity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and acceptance of existentialism. Existentialism in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while incorporating postwar anxiety into its form of self-consciousness as a form of exploring self-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the politics of this has provided a stepping stone to the future of participatory literature.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Moon Byeong-ran's modernistic aspect shown in the first poetry and the participative aspect shown in the poetic world after the second poetry are all created with the same literary foundation as postwar literature and existent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