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교방 <황창무> 복원 재현을 위한 연구 Ⅰ: 악부시(樂府詩)를 기반으로 (A Study on Restoring Hwangchangmu from Gyeongju Gyobang: Based on Materials Found in the Akbusi (樂府詩))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09
35P 미리보기
경주교방 &lt;황창무&gt; 복원 재현을 위한 연구 Ⅰ: 악부시(樂府詩)를 기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50권 / 59 ~ 93페이지
    · 저자명 : 이종숙

    초록

    <황창무(黃昌舞)>는 신라인 황창랑(黃昌郞)이 어린 나이에 용감하게 백제에 침투하여 그 왕을 검무로써 시해한 고사(古事)를 기초로 발생된 칼춤[劒舞]의 한 종류이다. 어린 나이에 신라를 위해 싸우다 죽은 황창(黃昌, 黃倡으로도 표기함)을 기리기 위한 춤으로서 경주를 대표하는 조선시대 향악(鄕樂)이었다. 조선 후기의 박종(朴琮, 1735-1793)은 <황창무>가 신라로부터 1000여년을 전승해 온 춤이라고 인식했으며, 당시 사람들은 이 춤이 동방의 제일가는 춤이라고 여겼다.
    조선시대 경주교방에서 면면히 연행되어 온 <황창무>는 일제강점기에 단절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황창무>를 오늘의 춤으로 다시 복원 재현하려는 데 필요한 기초 이론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박종(朴琮)이 「동경유록(東京遊錄)」에 기재한 ‘신라 10무(新羅十舞)’ 중 <황창무>를 복원재현 하려는 작업의 일환이다. 다만 그 문장이 짧고 내용이 소략하기 때문에, 조선시대 문집 악부시(樂府詩)로 자료범위를 확대하여 황창랑 관련 기록들을 수집․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제Ⅰ차시와 제Ⅱ차시로 나누어 진행하는데, 이번은 제Ⅰ차 연구에 해당한다.
    이번 Ⅰ차 연구에서는 조선의 여러 문사들이 남긴 악부시 속에서 황창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황창무>의 역사를 다시 정리하였다. 그리고 춤에 관련된 문사들의 시어(詩語)를 채집하여 조선시대 <황창무>의 특징과 의미를 변별하였다. 다음은 문헌에 묘사된 <황창무>의 춤 요소들을 파악하여 색인하였다. 여기에서 밝혀진 춤 요소들은 <황창무>를 오늘의 춤으로 복원 재현하는데 유용한 중요 정보이므로 이 연구의 결과에 해당한다.
    이 연구를 통해 경주교방의 춤문화를 다시 돌아보고 점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또 <황창무>를 연구함으로써 지방의 향토 예술문화를 새롭게 조명하고 이해하는데 일조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Hwangchangmu (黃昌舞) is a type of sword dance, which is based on a legend about Hwangchang Rang (黃昌郞), a member of the Silla Dynasty. The legend states that Hwangchang Rang (黃昌郞) bravely went to Baekje to slay the king with a sword. The dance is performed in commemoration of Hwangchang (黃昌 or 黃倡), who fought to the death for his country, Silla. During the Joseon Dynasty, Hwangchangmu was dance indigenous to the Gyeongju reg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Park Jong (朴琮 1735-1793) stated that Hwangchangmu had been passed down from the Silla Dynasty for nearly 1,000 years and people at that time thought that it was the best dance in the East.
    The dance, which had been performed at Gyeongju Gyob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suspend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an be used to restore Hwangchangmu in a contemporary context. Particularly, it is part of an effort to restore Hwangchangmu, which is described as one of the ten dances from the Silla Dynasty (新羅十舞) in Donggyeongyurok (東京遊錄) written by Park Jong. Since its sentences are brief and the contents are rough, related materials a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kbusi (樂府詩), which is a literary anthology that was written by many literary figures and origin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past dance culture of Gyeongju Gyobang should be examined. Also, the study of Hwangchangmu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newly illuminating and understanding of native art and culture in provincial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