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後期 僧匠의 活動과 高興의 佛敎美術 (Activities of Monks-artists and Buddhist Art in Gohe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6
32P 미리보기
朝鮮 後期 僧匠의 活動과 高興의 佛敎美術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43호 / 115 ~ 146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초록

    전라남도 고흥지역의 불교문화재는 사찰이 폐사되면서 산일된 경우가 많고 현존하는 유물이제한적이어서 하나의 주제로 다뤄지지 못했다. 송광사의 말사에 소속되어 있는 점도 연구자들의 관심이미진했던 요인 중 하나였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던 고흥군의 불교미술을 불상의조성 연유와 내역을 기록한 發願文과 造成記를 참고하여 복원해보았다. 또한 1730년 능가사 대법당<제석천도>, 1776년 봉래사 <신중도>, 1862년 수도암 <칠성도> 등 현존하는 유물을 중심으로 17~19세기고흥지역 불교미술의 특징을 조명하였다.
    조선시대 고흥은 능가사, 금탑사, 불대사, 중흥사와 같은 사찰을 주축으로 주변에 많은 암자를 거느리고있었다. 사찰의 기세가 약해지고 폐사됨에 따라 유물들이 흩어졌고 일제 강점기 사찰령을 통해 송광사의말사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고흥군의 사찰은 송광사, 선암사 권역 뿐 아니라 팔도도총섭을 지냈던 벽암각성의 문도들이 활동했던 화엄사 등 지리산 지역의 사찰로부터의 영향 관계가 있으며 크게는 부휴 선수계문도의 범위에서 이해할 수 있다.
    부휴계가 가장 크게 결집되었던 곳은 조계산 송광사와 화엄사였으나 碧川 正玄, 廣熙 圓日, 泗影 信熙 등각성의 법제자를 주축으로 능가사의 중건이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영해 약탄, 묵암 최눌, 禪宗의 최고 지위인禪宗判事를 지낸 戒嚴과 戒環 등 고흥과 관련 깊은 승려의 활동이 주목된다.「 楞伽寺事蹟碑」를 통해 능가사의재건이 벽암 각성의 문도에 의해 가능했으며 송광사, 화엄사의 불사에 맞먹는 규모였음을 알 수 있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에 걸쳐 활동한 色難과 그의 제자들은 고흥 지역 불사를 주도했다. 색난은 전라도권역 뿐만 아니라, 화엄사, 천은사와 같은 경상권역의 불사를 진행했으며 색난을 이은 제자 夏天 역시 1730년 금탑사 극락보전 미타삼존상을 개금 중수하기 이전에 1727년 동화사 대웅전 삼세불 조성, 1730년 창녕관룡사 불상 조성을 이끌었다. 이러한 승장들의 활동 범위는 소속된 문도와 증명을 맡은 승려와의 교유에영향을 받았다.
    고흥군의 불사를 살펴보면 부휴 선수 문파를 중심으로 한 승려 문도의 후원과 더불어 지역의 유력인사들을 비롯한 신도들의 참여에 의한 후원으로 나눌 수 있다. 능가사가 승려 문도의 후원을 대표적으로보여준다면 金塔寺 地藏殿의 불사는 흥양현감을 비롯하여 무장, 수군, 절위장군, 御侮將軍 訓鍊院判官 등지역민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이루어진 사례이다.
    17세기에는 고흥의 승장이 전라남도 뿐 아니라 경상권 사찰에 초빙되어 상을 조성했다면 18세기가 되면조계산문의 승장이 고흥 지역의 불사를 담당하였다. 1730년 능가사 <제석천도>, 1778년의 금탑사 <괘불>, 1847년 금탑사 <아미타불회도>, 1860년 수도암 <칠성도> 등에서 천여, 비현, 쾌윤, 기연 등 송광사, 선암사를거점으로 삼았던 화승의 활동이 확인된다. 비록 일제 강점기 이후의 일이나 천은사와 소속암자의 불화와불상이 고흥의 사찰에 전하는 점에서도 승려의 문도와 활동 범위가 관련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Most of the Buddhist artworks of the Goheung region in Jeollanam-do Province were dispersed or lost as local temples fell to ruins, and not many remain in the present day.
    Therefore, the Buddhist artworks of the region had not been investigated under a single subj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uddhist artworks of Goheung through examining the letters of vow and construction records that account the details and background of constructing Buddhist sculptures. Moreover, the study casts light upon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of the Goheung with a focus on extant artworks including the painting of Indra in the Main Buddha Hall of Neunggasa Temple(1730), painting of Buddhist Deities of Bongraesa Temple(1776), and paintings of Big Dipper of the Sudoam Hermitage(1860).
    The lack of interest of researchers has also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Buddhist temples of the Goheung region were under the auspices of the branch of Songgwangsa Temple. However, records show that seventeenth- to nineteenth-century Goheung encompassed many hermitages of temples such as Neuggasa, Geumtapsa, Buldaesa, and Jungheungsa. With the weakening and dissolution of the temples, artworks were dispersed and the temples became the branch of Songgwangsa Temple via the Temple Act promulg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emples of the Goheung not only encompassed those in the Songgwangsa and Seonamsa Temple complex areas but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ose in the Jirisan Mountain, including Hwaeomsa Temple where Master Byeokam Gakseong, who had served as the supreme overseer of the Buddhist monk soldiers of all eight provinces, had been active. They can largely be understood in the realm of the disciplines of Monk Buhyu Seonsu’s sect.
    The Buhyu sect had mostly gathered in the Songgwangsa and Hwaeomsa temples in Jogyesan Mountain, but the reconstruction of Neunggasa Temple was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disciplines of Gakseong including Byeokcheon Jeonghyeon, Gwanghui Wonil, and Sayeon Shinhui. In addition, the efforts of monks with close connections to Goheung including Yeonghae Yaktan, Mukam Choinul, and Gye-eom and Gyehwan, who had served as Zen master, the highest position in the Zen Sect, are notable. Through The Historical Records of Neunggasa Temple , it is understood that the reconstruction of Neunggasa Temple was made possible by the disciples of Byeokam Gakseong and the scale of the temple was equal to that of the temples of Songgwangsa and Haweomsa.
    Seknan, who had been active across the period from the late seventeenth to eighteenth century, and his disciples had carried out the Buddhist artistic projects in the Goheung region. Seknan was responsible for the projects not only of the Jeollanam-do Province but also the Gyeongsang-do Province that encompassed Hwaeomsa and Cheoneunsa temples. Hacheon, who had succeeded Seknan, led erecting the Buddha Triad in Daeungjeon Hall of Donghwasa Temple in 1727 and fabricating the Buddhist statue in Gwalyongsa Temple in Changyeong in 1730 prior to enlarging and gilding the Amitabha Buddhas of There Ages in the Geungnakbojeon Hall of Geumtapsa Temple in 1730. The sphere of activities of such monk-artists was influenced by their affiliated sec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k repsonsible for certification.
    What is noteworthy in the Buddhist artistic projects of Goheung is that, in addition to the patronage of monk disciples, influential figures as well as adherents of the region supported the projects. For example, the reconstruction of Neunggasa Temple represents the support from monk-disciples, and constructing Jijangjeon Hall of Geumtapsa Temple exemplifies the enthusiastic support of the local residents, including governor of Heungyang, armies, naval forces, military officers Jeolwi janggun and Eomo janggun, and Hullyeonwon military training command.
    In the seventeenth century, monk-artists of Goheung were invited to temples not only in Jeollanam-do Province but also in Gyeongsang-do Province to create statues, whil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ose of Jogyesan School were responsible for the Buddhist artistic projects in the Goheung region. Works including the painting of Indra in Neunggasa Temple(1730), the large Buddhist scroll painting of Geumtapsa Temple(1778), the pa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of Geumtapsa Temple(1847), and the Big Dipper paintings of the Sudoam Hermitage(1860) illustrate the scope of engagements of monk-artists such as Cheonyeo, Bihyeon, Kwaeyun, and Giyeon who were active around Songgwangsa Temple and Seonam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