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彫刻僧 夏天의 佛像彫刻 硏究 (A Study on Monk Sculptor Hacheon’s Buddhist Statu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06
24P 미리보기
彫刻僧 夏天의 佛像彫刻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4호 / 213 ~ 236페이지
    · 저자명 : 오진희

    초록

    하천은 18세기 전반에 활약한 조각승으로 현재까지 발견된 예로는 1703년 색난의 보조화승으로 불상조성활동을 시작하여 1726년 고흥 금탑사 북대암(현 서울 지장암 대웅전 관음보살상)과 문수암 관음보살상(현 송광암 극락전 좌 보살좌상), 1727년 대구 동화사 대웅전 삼세불좌상, 1730년 창녕 관룡사 삼존불좌상(현 창녕 포교원 석가불좌상)을 수화승으로 조성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전라도에서 활동하면서 경상도 지역까지 활동 영역을 넓혀 조상활동을 활발히 하였다고 생각된다. 또한 그는 현재까지 밝혀진 문헌기록으로는 화엄사 각황전 칠존불상(1703년), 하동 쌍계사 보현동자상(1705년), 능가사 대웅전 석가불좌상(1707년), 고흥 금탑사 대세지보살좌상(1709년)을 색난의 보조화승으로 제작하였다. 색난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17세기 후반 ~ 18세기 초 가장 많은 기년명 불상을 남기고 있으며 색난 일파는 전라도를 중심으로 경상도지역까지 화단을 형성하고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조각승으로 추정된다. 불상 양식에서도 건장하고 당당하게 보이는 신체 뿐만 아니라 착의법, 옷주름 등에서 색난작 1693년 구례 천은사 응진전 석가불좌상, 1694년 화순 쌍봉사 석가불좌상, 1701년 해남 대흥사 응진전 석가불좌상과거의 유사하게 표현되어 색난 불상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색난파 조각승들 중 색난의 불상 양식을 가장 잘 따르고 있어 색난 유파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하천이 조성한 불상은 두부를 크게 조성하여 장대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깨도 넓고 건장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색난의 작품과 유사하지만 하천이 두부를 더 크게조성하였으며, 도식화된 주름선과 밋밋한 단판 연화형 승각기 상단 주름 등 세부 표현에서 색난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하천과 함께 불상 조성활동을 한 화승들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하천과 함께 두 작품 이상 불상 조성 활동을 한 종혜와 득열을 제외하고는 한 두 작품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어서 사자상승하는 도제식의 조각승 집단이지만 불사가 있을 때마다 몇 촌간의 가까운 유파의 보조 조각승을 모아 작업을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천과 함께 1730년 금탑사 극락보전아미타삼존을 개금 하였던 덕희와 1727년 대구 동화사 삼세불상을 조성한 석준은 색난파 조각승으로 하천과는 선배 또는 동료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보조 조각승이라기 보다는 불상 제작을함께 주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Hacheon is a monk sculptor who work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ccording to findings so far, he started his career of Buddhist statue creation as an assistant of Saeknan in 1703, and participated as the leading sculptor in the erection of Bukdae‐am at the Geumtap‐sa Temple in Goheung (the current Avalokitesvara Buddhist Statue in Daewoongjeon at Jijang‐am in Seoul), the Avalokitesvara Buddhist Statue at Munsu‐am (the current Seated Bodhisattva Statue on the left side in Geukrakjeon at Songgwang‐am) in 1726, the Seated Three World Buddhas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Donghwa‐sa Temple in Daegu in 1727, and the Seated Trikaya Statue at the Gwanryong‐sa Temple in Changnyeong (the current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e at Pogyowon in Changnyeong) in 1730. Therefore, he is believed to have worked mainly in Jollanam‐do but expanded his activities to the Gyeongsang‐do region. According to records available today, moreover, he worked as an assistant of Saeknan in creating the Seven Saints Statue in Gakhwangjeon at the Hwaeom‐sa Temple (1703), the Bohyeon Dongja Statue at the Ssanggye‐sa Temple in Hadong (1705), the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Neungga‐sa Temple in Goheung (1707),and the Seated Mahasthamaprapta Statue at the Geumtap‐sa Temple in Goheung (1709). As known widely, Saeknan left the largest number of date‐inscribed Buddhist statue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led the most influential group of monk sculptors that extended its influence from Jolla‐do to the Gyeongsang‐do region. The style of Hacheon’s Buddhist statues is also quite similar to that of Saeknan’s works in terms of sturdy and majestic physique, dress, fold, etc., and this shows that he inherited the style of Saeknan’s Buddhist statues. Furthermore, among the monk sculptors of Saeknan’s group, Hacheon followed Saeknan’s style most closely and represented the group’s style clearly.
    However, Buddhist statues created by Hacheon look majestic as they have a large head and their shoulders are expressed to be broad and sturdy. These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in Saeknan’s works as well, but Hacheon made the head larger and his work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Saeknan’s in detailed expressions such as schematic fold lines, and smooth wrinkles on the upper side of single‐plate lotus‐type Samkaksika.
    Moreover, when we examined his relations with other monk sculptors with whom he worked together for creating Buddhist statues, only Jonghye and Deukyeol created more than two statues together with Hacheon, and other sculptors made only one or two with him.
    This suggests that although the monk sculptor group adopted the apprentice system that transmitted techniques through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they might have formed a team of assistant monk sculptors from close schools whenever there was a Buddhist project. In addition, among monk sculptors working together with Hacheon, Deokhee who did gold mending for the Amitabha Triad Statue in Geukrakbojeon at the Geumtap‐sa Temple in 1730,and Seokjoon who created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at the Donghwa‐sa Temple in Daegu in 1727 are believed to be Hacheon’s superior or colleague. They might have worked not as assistant sculptors but as co‐workers who led the projects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