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소설의 항왜(降倭) 형상과 ‘민족’의 구성-<검승전(劒僧傳)>을 중심으로 (The Shape of the Surrendered Japanese Army(降倭) and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 in Late Joseon Novels -Focusing on Geomseungjeon(劒僧傳)-)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6
34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소설의 항왜(降倭) 형상과 ‘민족’의 구성-&lt;검승전(劒僧傳)&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57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조현우

    초록

    석북 신광수의 <검승전>에는 일반적인 전의 서술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들이 드러난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이질적 특징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것이 갖는 문화사적 함의를 민족 개념의 형성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이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의 익명성과 위계적 관계의 문제를 분석했다. <검승전>의 인물들은 모두 익명인데, 이는 그들이 드러내는 어떤 특징과 정체성을 소속 집단, 특히 내셔널한 경계의 문제로 과대 대표화하여 이해하도록 만든다. 이를 통해 익명의 스승과 제자 사이에서 일어났던 일은 조선과 일본, 그리고 문명과 야만의 상하 관계로 확장하여 파악될 수 있음을 언급했다. 3장에서는 두 명의 항왜 제자가 하나는 아들 하나는 적이라는 야만의 두 얼굴로 형상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우리 세 사람’으로 지칭되었던 익명의 스승과 제자가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형상화한다면, ‘우리 두 사람’으로 언급되었던 익명의 두 왜인 제자는 사랑 받는 야만인과 미움 받는 야만인으로 구별되어 형상화되고 있음을 분석했다. 4장에서는 <검승전>이 임진왜란의 상처가 많이 아문 상황에서 창작된 작품임을 전제로, 제자에게 암습을 받아 죽는 스승의 이야기가 이 시기에 왜 만들어졌으며 독자에게 어떤 쾌락을 안겨줄 수 있었는가를 논의했다. <검승전>은 환상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전란의 발생과 패배가 모두 우리의 뛰어남 때문이라는 답을 제시하는 작품이었다. 이 과정에서 ‘우리 안의 타자’인 항왜를 배제함으로써 ‘진정한 우리’가 만들어지는 징후를 포착할 수 있다. 즉 이 작품은 우리와 비슷해 보이지만 우리가 아닌 자를 우리로부터 배제함으로써 구성되는 진정한 우리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를 구성적 외부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sought a wa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revealed by Shin Kwang-soo’s “Geomseungjeon”, and reviewed its cultur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 I would like to summarize the contents discussed and conclude by referring to the remaining tasks.
    In Chapter 2, the problem of anonymity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s of characters in this work was analyzed. All the characters in “Geomseungjeon” are anonymous, which makes them understand certain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they reveal by overrepresenting them as a matter of national boundaries, especially in their groups. It was mentioned that what happened between anonymous teacher and disciples can be grasped by expanding into civilization and barbarism,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In Chapter 3, I mentioned tha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disciples is approached as a matter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two disciples embody two faces of barbarism, one is son and the other is enemy.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the anonymous teacher and disciples, who were referred to as “We Three,” embody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the two anonymous Japanese disciples, who were referred to as “We Two,” were distinguished as a loved barbarian and a hated barbarian.
    In Chapter 4, I discussed why the story of a teacher who died after being raided by a disciple was created during this period and what kind of pleasure could be brought to the reader, assuming that “Geomseungjeon” was a work cre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wounds of the Imjin War healed a lot. “Geomseungjeon” was not a story of overcoming reality through fantasy, but a work that suggested that both the occurrence and defeat of the war were due to our excellence. However, in this process, I argued that “the true us” was formed by excluding Hangwae, “the other in us”, from us.
    In other words, the problems raised by this work are as follows. The true us, which looks similar to us but is composed of excluding those who are not us from us.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this with the concept of constitutive outside.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article need to be expand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based on data that can confirm the view of Japan during this period, including the Tongsinsa(通信使) that took place in the 18th century. This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subsequent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