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擧行條件의 制定과 承政院의 역할 (The enactment of Geohaengjogeon(擧行條件) and the role of Seungjeongwon(承政院) in the late Joseon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12
28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擧行條件의 制定과 承政院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9호 / 75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근호

    초록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왕명 체계 중 하나인 거행조건의 제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承政院의 역할을 규명한 것이다. 거행조건은 晝講 등의 筵席에서 국왕의 傳敎나 논의된 내용 중 거행할 사항을 승정원에서 정서하여 국왕에게 보고하고, 이것이 이후 계하 등의 과정을 거쳐 조보에 반포되는 왕명 체계 중 하나이다. 거행조건은 이미 고려에서부터 통용되던 조건에서 분화된 것으로 보이며, 시기적으로 대개 선조 재위 이후부터 통용되던 것이 아닐까 추론해보았다. 내용으로 본다면 정치, 경제, 사회 등 국정 운영 전 영역에 걸쳐서 제정되며, 정치적 귀감이 되는 내용이나 정치적 시비와 관련된 판정 등도 거행조건으로 제정되었다. 다만 긴요하지 않은 내용은 제외되기도 하였으며, 국왕의 판단에 따라 또는 특정 사안을 관장하는 관서의 장관이나 업무와 관련된 관원이 직접 전교를 듣는 경우, 이미 시행된 일 등은 거행조건에서 제외되었다. 연석에서 거행조건이 결정되면 승정원에서 정서하여 보고하였는데, 이 관행은 인조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거행조건은 注書가 일차적으로 작성하고 이를 承旨가 마감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작성 과정에는 대간이나 관련 내용을 말한 사람 등에게 啓草를 받거나 문의하여 거행조건에 반영하는 것이 관행화되었다. 한편 작성 과정에는 승정원의 내부 체계가 작동하였는데, 승지가 주서의 작성 과정에 개입하여 일부 내용들이 변개되는 경우도 있었음이 확인된다. 거행조건은 당일에 정서해서 보고하는 것이 관행이었으나, 주서가 작성하는 과정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어 18세기 중반에는 3일 내에 보고하는 것이 관행화 되었다.
    승정원에서 거행조건이 보고되면 국왕은 당일에 계하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이런 관행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국정의 신속한 운영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조항이다. 계하 이후에는 각 기관에 분부하거나 조보에 내어 공표하였다. 이렇게 공표되면 이에 대한 수정이나 삭제를 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조선시대 왕명은 다양한 계통이나 체계를 통해서 하달되었다. 단, 아직까지 그 계통이나 체계조차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은 상태이다. 향후 이에 대한 규명을 바탕으로 왕명 연구에 대한 심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을 의식하고 작성된 것이지만 당대의 국정 운영이나 정치 세력의 문제 등을 함께 검토하지 못한 것은 한계임을 자인하다. 향후 보다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actment of Geohaengjogeon, which is one of the King's Command system in late Joseon, and the role of Seungjeongwon in this process. Geohaengjogeon is one of the system of king's command in which some discussed topics during yeonseok(筵席) at Jukang(晝講) are picked up to write out fairly at Seungjeongwon and reported to king and then it will be issued at Jobo(朝報) through process like gyeha(啓下). It is assumed that Geohaengjogeon derived from Jogeon(條件) that had been widely used since Goryeo(高麗), and actively used after Seonjo(宣祖)'s accession. Considering its contents, it was enacted through all subjects related with state affiar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In addition, agenda inspired for politics or judgement about political argument were also enacted as Geohaengjogeon. However, some peripheral problems was excluded. Based on king's judgement, when staff at department related to certain agenda directly listened Jeongyo(傳敎), this agendas was ruled out from Geohaengjogeon. After Geohaengjogeon was determined at yeonseok, it was reported at Seungjeongwon and this practice started after Injo(仁祖). Juseo(注書) first fill out Geohaengjogeon and then Seungji(承旨) complete it. Additionally, it was ritualized that they require feedback to Daegan(臺諫) and reflect this into Geohaengjogeon. Meanwhile, the inner system of Seungjeongwon works out during this process. Sometime Seungji intervene while Juseo was filled out and some contents was spoiled. It was ritualized that Geohaengjogeon is announced on time, but considering a few limitations during which Juseo was completed, after the mid 18th, it started to be reported within three days. After Geohaengjogeon was reported at Seungjeongwon, king did gyeha at that day. Although this practice was not kept in some cases, it was necessary items for rapid state operation. After gyeha, it was ordered to each department or announced through Jobo. There was an example in which some department required to erase or modify it. During Joseon period, king's commands were conveyed through a variety of system. However, that systems are still not cleary figured out. Based on investigation about this, the further research for King's command will be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being conscious of this situation, but also has limitation that it doesn't review state affair and political influence at that period. It is expected that more specific review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