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世紀 承政院 注書職의 人事實態 (17~18th Century Seungjeongwon(承政院) Juseojik(注書職)'s Actual Personnel Management Condition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02
33P 미리보기
17~18世紀 承政院 注書職의 人事實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1권 / 273 ~ 305페이지
    · 저자명 : 강성득

    초록

    이 글은 일자별로 구축된 주서직 DB를 활용하여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를 살펴본 것이다. 승정원 주서는 정7품의 참하관직이지만 당대 청직으로 인식되었던 관직이었다. 주천제의 확립을 통해 관직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간 승정원 주서는 상(하)주서와 상(하)가주서, 사변가주서의 관직 내 위계속에서 운영되었으며, 상주서는 주서 내 상위 관원으로 주서직 전반을 운영하는 책임을 지고 있었다. 특히, 주서직은 출육의 계제가 되었으며, 업무의 성격 상 한림직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위와 같은 주서직 운영양상을 전제로 구축된 DB를 통해 살펴 본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에서는 몇 가지 특징적인 사항이 확인되었다. 먼저 주서직 인사횟수는 가주서는 주서에 비해 5배 이상, 사변가주서는 주서에 비해 2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서에 비해 가주서, 사변가주서의 人事가 빈번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서직의 재직인원은 직과별로 차이가 두드러졌다. 주서 역임자에 비해 가주서 역임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던 것은, 가주서는 주서의 有故시 임시로 임명된 관원으로, 주서의 빈번한 관직이동과 가주서의 주서직 厭避, 가주서의 遞職 관례 등과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주서와 가주서의 재직인원의 차이에서 볼 때 주서의 선발과 승진에는 가문과 당파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주서직 역임자의 재직기간은 참하관 관직 규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우선 주서직 내 이동, 사관과 관련된 관직으로의 이동, 出六하는 경우 등이 빈번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서직 직무 수행 상 난점이 직무를 소홀히 하고 기피하는 경향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주서직의 래직과 거직을 분석한 결과 승문원과 예문관, 성균관, 세자시강원 출신의 관원들이 주서직으로 이동하는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주서직 역임자들은 주로 예문관의 한림과 세자시강원의 설서직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는 주서직이 가지는 사관 업무의 성격과 연관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함께 주서직을 거쳐 간 인원들 중 출육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 점은 결국 승정원 주서직이 갖는 관료제 상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utilizes Juseojik DB that is constructed by date and examines 17~18th century Seungjeongwon(承政院) Juseojik(注書職)'s actual personnel management conditions. Seungjeongwon(承政院) Juseo(注書) is Chamhagwanjik(參下官職) of Jeong(正) 7 Pums(品), but it was government office recognized as Cheongjik(淸職) at that time. Had been taking responsibility that Seungjeongwon Juseo that establish status of government office through Jucheonje(注薦制)'s establishment was administered in grade of rank in Sang(上)(Ha(下))Juseo(注書) and Sang(上)(Ha(下))Gajuseo(假注書), Sabyeongajuseo(事變假注書)'s government office, and Sangjuseo(上注書) operates Juseojik whole as high position government official in Juseojik. Specially, Juseojik was Chulyuk(出六)'s step and was closely related to Hanrimjik(翰林職) for the nature of business.
    Some characteristic items were confirmed in 17~18th century Seungjeongwon Juseojik's personnel management observed through DB that is constructed on the assumption Juseojik operation aspect such as latitude. First,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Juseojik personnel management, Gajuseo(假注書) had 5 times and Sabyeongajuseo had 2 times more personal management than Juseo. Based on this, we can find out that Gajuseo and Sabyeongajuseo personnel management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Juseo. In addition, the number of personnels in the office of Juseo was varied by Jikgwa.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number of Gajuseo than juseo tells us that Gajuseo connects with etc.. frequent government office transfer of juseo and Gajuseo's Juseojik evasion, Gajuseo's Chejik(遞職) usage as government official appointed specially when advise of Juseo. Also, when seeing in difference of holding office number of persons of juseo and Gajuseo, selection of juseo and an elevation were expected to be pedigree and partisan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Juseojik officer's incumbency was shorter than Chamhagwan government office regulation. The reasons were internal movement in Juseojik, transfer to the office related to Sagwan(史官) Chulyuk. Also, because of Juseojik job achievement, difficult point can see that brought tendency which neglects and evades duty.
    On the other hand, was showing result Seungmunwon(承文院) and Yemungwan(藝文館), Seonggyungwan(成均館), government officials from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etc., tendency which move to Juseojik that analyze Juseojik's previous government office(來職) and subsequent government office(去職) job for housewives and Geojik, and Juseojik Yeokimjas was confirmed example that move by Yemungwan's Hanim(翰林) and Sejasigangwon's Seolseojik(說書職) mainly. This is grasped in Juseojik's personality and that was involved of Sagwan business. Also, example that do Chulyuk among number of persons that flow Juseojik majority confirm. This point may be segment that can confirm phase of Seungjeongwon Juseojik's bureaucracy fin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