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상학적 연출이 반영된 설치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올라퍼 엘리아슨, 제임스 터렐, 도쿠진 요시오카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erception Elements of A phenomenological installation work - Focused on Olafur Eliasson, James Turrell, Yoshioka Tokujin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06
13P 미리보기
현상학적 연출이 반영된 설치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올라퍼 엘리아슨, 제임스 터렐, 도쿠진 요시오카 작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3호 / 181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현, 문자영, 황연숙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공간은 작품과 관람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인 개념의 공간을 넘어 공간경계의 확장성과 다양한 감각경험을 이끌어내는 관람자 중심의 전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시형태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공간이론에 영향을 받은 설치작가를 중심으로 인간의 신체 즉, 지각요소를 통해 관람객들로 하여금 작품에 직접적인 개입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체험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 화이트 큐브의 물리적 공간의 제한이 아닌 자연적인 비-물질성 요소들을 결합하거나 과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전시형태를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기반으로 한 대표 작가들의 전시작품을 선정하여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향 후 전시공간의 현상학적 연출에 대한 공간지각요소를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개념과 공간지각요소에 대해 이해한다. 그 후 선행연구를 통해 설치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시연출 요소 및 공간지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공통적으로 도출된 공간지각요소인 장소, 시간, 신체감각에 따라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공간지각요소에 따른 공간 표현방법, 공간구성요소, 관람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세 작가의 작품 모두 관람자를 공간 속 작품에 직접 개입시킴으로써 상호작용을 통해 관람객의 공간경험을 유도하고 있었다. 특히 비물질성 요소를 주로 활용하여 작품 자체가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고, 공간의 경계를 모호화 시킴으로써 지각을 통한 현상학적 공간의 체험을 극대화하였다. 이러한 전시공간은 관람자에게 감각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유도하며, 물리적인 공간을 넘어 초월적, 유희적 공간을 체험하도록 한다. 그러나 작가에 따라 활용하는 기준과 나타내는 방법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현상학적 지각방식과 공간경험을 다르게 이끌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앞으로는 기존 전시공간의 물리적 한계와 작가 중심의 작품 연출에서 나아가 현상학적 관점으로서 관람자와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보다 다양한 체험형 전시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향후 전시공간에 있어 지각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공간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exhibit spaces have focused on spectators who can extend the boundaries of space beyond the physical concept spac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works and spectators. This type of display especially encourages viewers to directly intervene in the works through the human body, that is, the perception element, centered on the installation and influenced by Merleau-Ponty's theory of phenomenological space. This provides various experiential possibilities. This concept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space of the existing white cube, but it includes a combination of natural non-material element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o create an exhibition in which the boundaries of space are blur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erception in interaction with visitors by selecting exhibition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attempt to grasp the spatial perception factor of a phenomenological present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Method) First, theoretical review enables an understanding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space concept and spatial perception factors. Then, we analyze the elements of exhibition presentations and spatial perception that have appeared in the works of installation artists using previous research and construct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commonly recognized spatial perception elements of space, time, and the physical senses. Using this framework of analysis, the spatial expression method, spatial component, and viewing method according to spatial perception elements were analyzed. Finally,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spatial perception elements in three artists' works were analyz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oncluded that all the works of the three artists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work of the space, which enhanced the viewers’ experience of the space through interaction. In particular, using mainly non-material elements, an environment is created in which the work itself plays a role as space, and the boundaries of space are obscured to maximize the experience of phenomenological space through perception. Such an exhibition space induces new experiences through sensations and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tal and amusing spaces that transcend the physical element.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artists in the criteria and the methods used to achieve this effect. This indicates that the artists’ intentions were different from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space. (Conclusion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experiential exhibition form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pectators and objects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at transcends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xhibition spaces and artist-oriented works. This suggests that in the future, exhibition spaces can present the space paradigm in a way that adds new value through per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