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의 오류추리는 얼마나 합리적인가?: <웨이슨 선택 과제>와 오류추리의 합리성 (How Rational are Our Fallacies?: Philosophical Examination on Wason’s Selection Task)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02
32P 미리보기
우리의 오류추리는 얼마나 합리적인가?: &lt;웨이슨 선택 과제&gt;와 오류추리의 합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 수록지 정보 :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 12권 / 1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박미영

    초록

    사람들은 종종 논리 규칙을 위반하는 판단과 행동을 하는데, 이러한현상은 대체로 비합리적인 판단과 행동으로 이해되어 왔다. 1966년에웨이슨이 고안한 카드 선택 과제는 이러한 오류 판단의 편재성을 드러내는대표적인 실험이다. 이 실험의 결과는 사람들이 학습 부족이나 의지박약등의 이유로 자주 오류 판단을 저지른다고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같은설명은 비합리적 판단과 행동에 대한 가설은 제시할 수 있으나, 그러한현상이 왜 편재하며 또한 그 편재성의 패턴이 왜 규칙적인지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합리적인 판단과 행동을오류가 아닌 일종의 추론규칙인 휴리스틱스(heuristics)로 이해하는 이론은설명력과 예측력 면에서 기존의 해석보다 더 나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여전히 비합리성의 제약에 갇혀 일관되고 설득력있는 이론을 제시하지못한다. 논리 규칙을 위반하는 판단과 행동을 오류가 아닌 휴리스틱스로이해하고 이를 통해 마음의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상적인 합리성에 기반 한 해석보다는, 맥락-의존적이고 영역-특수적인 합리성에 기반 한 해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1) 웨이슨의 선택과제의 답변은 오류 판단이 아니라 휴리스틱스라는 추론규칙을 따르는판단이라는 점을 드러내고, (2) 휴리스틱스는 논리 규칙과는 다르지만일종의 판단의 규범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3) 웨이슨 선택 과제에서작동하는 휴리스틱스에 대한 최선의 해석은 논리 규칙과 확률 규칙만을합리적 규범으로 상정하는 해석이 아니라, 맥락-의존적이고 영역-특수적인제한된 합리성 규범에 기반 한 해석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논의가 옳다면웨이슨의 실험에서 소위 ‘전형적인 오답’을 제시한 사람들은 비합리적인오류추리를 한 것이 아니라, 추론자가 처한 상황과 맥락에 알맞은 합리적인추리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우리가 일상에서 저지르는 오류추리중 상당수가 제한된 의미의 합리성을 갖춘 휴리스틱스라는 주장의 정당성은더 높아질 것이다.

    영어초록

    People often make judgements and actions in violation of the logical rules, and those judgements and actions have been generally regarded as irrational. The Wason’s selection task designed by Wason, P. C.
    in 1966 is the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experiment revealing the ubiquity of these fallacy-judgement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as interpreted as ‘People often make an error by the lack of learning or will.’ This explanation offers a hypothesis for irrational judgements and actions, but does not offer any satisfying explanation about why the phenomenon is widespread and why it shows some regular pattern.
    An alternative is a theory that “irrational” judgements and actions are heuristics as an inference rule, not a fallacy. This theory provides more compelling explanation and predictability than the existing interpretation.
    Unfortunately, however, it still cannot offer any consistent and convincing argument due to its limitations with respect to irrationality.
    Understanding judgements and actions violating logical rules not as fallacy but as heuristics and accurately explaining and predicting how the mind works requires an explanation based on context-dependent, domain-specific rationality rather than one based on ideal rationality.
    This paper will show the followings: (1) Answers to the Wason’s selection task are not fallacy but judgements following heuristics as an inference rule. (2) Heuristics, different to logical rules, can function as norms of judgements. (3) Therefore, the best interpretation of heuristics working on the Wason’s selection task is not an interpretation postulating only logical rules and probabilistic rules as rational norms, but an interpretation based on context-dependent, domain-specific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64 rationality norms. If the above arguments are proper, we can say that people who make a typical wrong answer to the Wason’s selection task do not commit an irrational fallacy but make a rational inference adequate to situations and contexts that they are in. Furthermore, it might be highly justified that a number of common fallacies in a daily life are heuristics based on bounded ra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