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이소가야 스에지의 저술을 중심으로 (Memories on Colonial Korea and Repatriation of the Japanese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 centering around Isogaya-Sueji’s writing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1.02
28P 미리보기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이소가야 스에지의 저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2권 / 1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변은진

    초록

    1945년 일제패망과 함께 일본으로 귀환한 재조일본인은 전후 일본사회 내에서 자신들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라는 ‘기억의 역전’ 현상을 거쳤다. 그리고 이는 전후 일본정부의 태도와 정책에 힘입어 일본사회 내에서 ‘공적 기억’으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는 38도선 이북지역 일본인의 ‘잔혹한 체험’과 ‘고난의 탈출’이라는 귀환 경험이 그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 대상으로 삼은 이소가야 스에지라는 인물은 이와는 정반대로 일본사회 내에서 이러한 집단기억에 맞서서 정부와 시민사회를 향해 끊임없이 책임과 반성을 촉구했던 귀환 일본인이다. 그가 남들과 동일한 고난과 역경의 귀환 경험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 인식에만 갇혀 있지 않고 오히려 ‘공적 기억’에 저항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유일한 비국민 일본인’이라는 그의 남다른 식민지 경험과 기억, 그리고 일본인의 귀환 활동을 주도하면서 겪은 민족과 국가를 뛰어넘은 동지애와 신뢰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일제의 식민지배와 침략전쟁 그리고 전후의 한반도 분단과 그 고착화에 일본의 책임이 크다는 날카로운 지적을 끊임없이 일본사회에 던졌다. 귀환 후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정리한 이소가야의 저술들 속에서 강력하게 흐르고 있는 공통분모는 바로 휴머니즘이라는 가치였다. 그의 식민지 및 귀환 경험은 남다른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할지라도, 전후 일본사회에서 그것은 휴머니즘이라는 지극히 보편적인 가치로 발현되어왔다.

    영어초록

    The Japanese, who returned to Japan in 1945 due to the defeat of the imperial Japan, went through a "reversal of memory" phenomenon in post-war Japanese society that they were victims, not perpetrators. And it has become a "public memory" in Japanese society thanks to the postwar Japanese government's stance and policies. The return experience of Japanese people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the brutal experience" and "the escape of hardship",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in the process. However, the person named Isogaya Sueji, analyzed in this article, is a returning Japanese who constantly urged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to take responsibility and reflect on the collective memory in Japanese society. Despite his experience of returning to the same hardship and adversity as others, he was not confined to the victim's perception, but rather resisted the "public memory," his extraordinary colonial experience and memory as “the only an unpatriotic Japanese”, and his comradeship and trust beyond the people and countries he experienced. Until his death, he constantly threw sharp criticisms to Japanese society that Japan was responsible for Japan's colonial rule, invasion war, and postwar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entrenchment. The common denominator that flows strongly in his writings, which summarizes his experiences and memories after his return, was the value of humanism. Although his colonial and repatriation experience had particularity, it has been revealed in Japanese society as a very universal value of hu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