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화의 혼종성과 주체의 탈중심화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읽는 문체론의 한 방법- (Hybridity of enunci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Subject-One stylistics method to read An Essayist's Desk-)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08.04
27P 미리보기
발화의 혼종성과 주체의 탈중심화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읽는 문체론의 한 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57호 / 315 ~ 341페이지
    · 저자명 : 박진

    초록

    이 논문은 혼종적이고 다성적인 텍스트인 배수아의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대상으로, 문체론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소설 언어를 작가의 개성이나 기법적인 선택의 문제로 돌리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이질언어들이 얽혀 있는 집합체(aggregate) 또는 진동하는 장(fields)으로 바라보고, 단일 주체의 단독 언표 속에 통합되지 않는 비독백적 통일성(nonmonologic unity)을 묘사하는 방법을 예시하고자 한다. 또한 문체를 수사적이고 장식적인 차원에 국한시키는 대신에 의미의 영역과 긴밀하게 통합된 차원으로 이해하고, 텍스트의 언어적 형상을 통해 이 소설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고자 한다.
    본론의 첫 장에서는 서술하는 현재의 ‘나’의 목소리와 서술되는 과거의 ‘나’의 목소리가 혼성되고 중첩되는 양상을 통해 화자가 지닌 비표상적 성격을 살펴본다. 이는 이 소설이 타자의 자극에 의해 수동적으로 발생하는 사유 활동의 기록이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 이어지는 장에서는 이런 양상이 M이라는 인물의 타자성과 결부되어 있음을 밝히고, 표상 불가능한 상처(trauma)로 남아 있는 M과의 이별을 글로 써내기 위한 화자의 고통스러운 노력의 과정을 추적해본다. 이 과정은 이별의 날에 대한 발화를 회피하고 지연시키면서도 그것에 한 걸음씩 다가가는 화자의 글쓰기 과정이기도 하다. 이 같은 글쓰기를 통해 ‘나’는 돌이킬 수 없는 지난 날에 책임을 지는 윤리적 주체로 다시 태어난다.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나’의 발화 행위에 간섭하는 타자의 담론들이 어떻게 ‘나’의 발화를 이질적인 목소리들의 각축장으로 만드는지 검토해본다. 이로써 이 소설이 명시적으로 언급된 소설의 주제를 교란하면서 그 의미를 심화시키는 양상을 확인하게 된다.
    이 같은 분석은 다성적이고 대화적인 텍스트에 접근하는 문체 연구 방법의 한 사례가 될 수 있다. 화자의 발화와 인물의 발화가 혼성되는 방식, 특정 대상에 대한 언표 행위가 회피되거나 지연되면서 흔적으로 기입되는 방식, 상식이나 통념으로서의 타자의 담론들이 화자의 발화 안에 얽혀들어오는 방식 등은 대화적인 텍스트들을 분석하는 데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런 방식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왜’ 생겨나는가를 밝히는 일은 곧 텍스트의 언어적 형상에서 의미를 추출하는 문체론의 구체적인 작업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centers on An Essayist's Desk by Bae Soo-Ah, a dialogic and polyphonic text, to seek a new stylistics method. B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that considers the language of novel as the one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writer or a technical choice, the paper sees the language of novel as an intertwined, aggregated body of or an oscillated field of hetero-languages. The paper also tries to give examples of methods to describe non-monologic unity which is not integrated in a single enunciation of a single subject. Moreover, instead of confining the style in a rhetorical and decorative sphere, this paper regards the style as the one that is deeply integrated with the meaning and thus tries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An Essayist's Desk through the linguistic form of text.
    In the first chapter, the voices of ‘narrating I’ and ‘narrated I’ are mixed and overlapped through which we can examine the non-representative aspect of the narrator. This is also relevant with the fact that An Essayist's Desk is a record of mental activities that are passively produced by stimulation from the other in the novel. The following chapter reveals that such aforementioned aspect is also related to the otherness of M, a character in the novel, and tracks down the painful process through which the narrator writes down the separation from M, which still remains as trauma impossible to represent. This process is also a process of the narrator, who while trying to evade or delay the locutionary act, taking one step closer to separation. Through such writing, ‘I’ am reborn as an ethical subject who bares responsibility for irreversible days of the past. The last chapter of this paper examines how interfering dialogues of the other turn the locutionary act of ‘I’ into an arena of struggle of hetero-voices. This examination confirms an aspect found in An Essayist's Desk which is deepening the novel's meaning by disturbing the themes openly mentioned in the novel.
    Such 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one case of stylistics method that approaches polyphonic and dialogic texts. The following approaches can widely be used to analyze a dialogic text; an approach that mixes the locutionary act of the narrator with those of other characters in the novel; an approach that expresses the locutionary act of certain subject as a trace by evading or delaying the locutionary act; an approach that injects the dialogue of the other inside the narrator's locutionary act as common sense or general idea. Finding out ‘how’ and ‘why’ these approaches are created is a detailed work of stylistics that extracts meaning from the linguistic form of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