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엠블럼으로서의 여배우 초상: 레이놀즈의 〈비극의 뮤즈로서의 사라 시돈스〉 초상화 연구 (The Actress Portrait as a Social Emblem in Late 18th-Century England: A Study on Joshua Reynolds’ Sarah Siddons as the Tragic Mus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4.12
37P 미리보기
사회적 엠블럼으로서의 여배우 초상: 레이놀즈의 〈비극의 뮤즈로서의 사라 시돈스〉 초상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28호 / 339 ~ 375페이지
    · 저자명 : 이수령

    초록

    미국의 헌팅턴 미술관에 소장된 조슈아 레이놀즈(Sir Joshua Reynolds, 1723-1792)의 <비극의 뮤즈로서의 사라 시돈스 Sarah Siddons as the Tragic Muse>(1784)는 18세기 말 영국에서 유행했던 연극 초상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당대의 수많은 연극 초상화들처럼 <비극의 뮤즈> 역시 일차적으로는 여배우를 둘러싼 대중의 숭배 열기 속에서 탄생했다. 그러나 본 작품은 당시 연극 초상화의 일반적인 형식과는 달리 이례적으로 연극적 내러티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은 <비극의 뮤즈>의 도상 변화의 의미와 시돈스 자세에 나타난 ‘비극’ 및 ‘비극의 뮤즈’의 관념을 레이놀즈의 미술 이론과 18세기 비극론의 문맥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비극의 뮤즈>에 대한 연구는 레이놀즈의 양식사적 틀 안에서 획일적으로 이해된 경향이 짙었다. 최근에는 다수의 학자들이 ‘유명인사 문화’, ‘18세기 연극 환경’ 등의 함축적 용어를 빌어 본 작품의 사회‧문화사적 의의를 설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그 의미와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석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먼저 작품 속 도상 원천의 의미를 레이놀즈의 『미술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작품의 조형적인 특징을 당대의 ‘비극의 뮤즈’ 전통 및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과의 상호 연관성 아래서 해석해 보았다. 그 결과 레이놀즈가 재현한 ‘비극의 뮤즈’에 18세기의 새로운 ‘뮤즈’ 개념 및 이에 대한 사회적 함의가 반영되어 있음을 도출해 볼 수 있었다.
    사라 시돈스를 18세기의 전무후무한 비극 배우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게 만든 레이놀즈의 <비극의 뮤즈>는 사실 왕립 아카데미의 초대 수장이었던 레이놀즈가 ‘연극 초상화’에 대한 자신의 미술 이론을 증명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그는 『미술 담론』에서 모델의 ‘구체성’을 지양하고 ‘보편적 관념’을 추구하는 ‘장엄 양식’의 초상화를 내세움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장르로 평가받던 초상화의 지위를 높이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이론대로 시돈스의 제스처나 실제 연극 무대를 환기시키는 세세한 묘사 대신 ‘비극의 뮤즈’로서의 관념적인 캐릭터를 포착하여 표현함으로써 당대의 호평을 끌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이를 위해 레이놀즈는 먼저 고대의 뮤즈 조각상과 리파 등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비극의 뮤즈’ 도상들과 대가의 것에서 형식적 차용을 하는 그만의 ‘창안 방식’을 절충하였다. 또한 그는 이러한 관념적인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당대의 연극적 요소를 삽입하였다. 대좌에 앉아 있는 ‘비극의 뮤즈’ 표현이나 어두운 배경 속의 두 의인상의 모습 등 ‘극적인’ 장치들과 ‘비극의 뮤즈’의 의상이나 머리 스타일 등 몇몇 세부적 표현들은 당시의 실제 연극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이처럼 기존의 ‘비극의 뮤즈’ 재현 전통 및 자신만의 형식적 차용을 18세기의 연극 문맥과 적절히 조화시킨 레이놀즈의 ‘장엄 양식’ 초상화는 ‘비극의 뮤즈’를 재현하는 18세기 후반의 새로운 기준이 된다.
    <비극의 뮤즈>의 조형적인 표현 방식이 위와 같았다면 레이놀즈는 ‘비극의 뮤즈’라는 주제를 위해서도 흔히 ‘멜랑콜리’와 연관되던 당대의 ‘비극의 뮤즈’ 재현 전통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른 ‘비극’ 자체의 본질을 시각화시키고자 하였다. 즉 두 의인상의 표정과 시돈스의 자세에 각각 ‘연민’, ‘공포’, ‘관상’이라는 비극의 속성을 의인화시켜 표현함으로써 “비극을 통해 진리를 꿰뚫는다”는 비극의 의미와 목적을 형상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레이놀즈가 『미술 담론』에서 비극 장르와 역사화를 등치시킨 논리는 작품 속의 시돈스의 이미지를 역사화의 도덕적 기능과 연관시키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한편 <비극의 뮤즈>에 드러난 미학 이론은 1768년 설립된 왕립 아카데미가 자신의 위계질서와 이론을 공고히 하던 추세에 힘입어 그 권위가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당시 프랑스 혁명을 거치면서 더욱 더 보수적인 성향을 띠어갔던 영국의 부르주아 세력이 극장 및 비극 배우가 사회적인 순기능을 수행한다는 등의 언급을 함으로써 그들을 비호하던 분위기는 <비극의 뮤즈> 속의 시돈스 이미지를 19세기까지 이어지게 한 사회적 단초를 제공하였다.
    결국 <비극의 뮤즈>는 레이놀즈가 초상화에 대한 자신의 미학 이론을 바탕으로 아리스토텔레스 비극관에 따른 ‘비극의 정수’를 재현하고자 한 작품이다. 더불어 본 작품을 통해 시돈스가 ‘인격화된 비극’ 그 자체로 추앙된 현상은 <비극의 뮤즈>가 18세기 후반의 영국의 정치, 사회, 미학 담론, 특히 당대의 연극 무대의 문맥이 반영된 보다 복합적인 알레고리임을 보여준다 할 것이다.

    영어초록

    Sir Joshua Reynolds’ (1723~1792) Sarah Siddons as the Tragic Muse(1784), currently held in the art collection of the Huntington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is a leading example of the theatrical portrait genre that enjoyed popularity in late 18th century England. Like many theatrical portraits of its time, the Tragic Muse was born primarily of a popular zeal for worshipping actresses. Unlike the general form of theatrical portraits of the time, however, the Tragic Muse is characterized by its exceptional lack of a dramatic narrative. This thesis attempts to consider the meaning of iconological changes in the Tragic Muse, and the notions of “tragedy” and “tragic muse” manifested in Siddons' posture, in the context of Reynolds’ theory of art and of 18th century theories of tragedy.
    Until now, study of the Tragic Muse has had a pronounced and uniform tendency to understand the work through the frame of Reynold’s stylistic history. Recently, many scholars have explained the social and cultural-historical meaning of the work with recourse to suggestive terms such as “celebrity culture” and “the 18th century theatrical environment.” Nonetheless, the fact is that it is hard to find a specific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or reasons for, such terms. Consequently, in order to break through such interpretative difficulties, this thesis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the iconographical origins of the work, centered on Reynolds’ Discourses on Art. It then attempts to interpret the work’s form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 to the tragic muse tradition of the time, and to Aristotle’s theory of tragedy. As a result, it is able to deduce that Reynolds’ reproduction of the tragic muse reflects a new, 18th century notion of the muse and its social implications.
    In fact, Reynolds’ Tragic Muse, which enabled Sarah Siddons to become firmly established as the greatest tragedy actress of the 18th century, began with his intention, as President of the Royal Academy of Arts, to prove his artistic theory of “theatrical portraits.” In his Discourses on Art, Reynolds attempts to elevate the status of the portrait, which had been regarded as a relatively low genre, by advocating a “grand manner style” of portrait that sublated the “specific nature” of the model and pursued a “universal idea.” By capturing and expressing the conceptual character of a tragic muse, rather than giving a detailed depiction of Siddons’ gestures or drawing attention to the features of an actual stage in a theatre, in accordance with his own theory, Reynolds succeeded in drawing positive reviews of his work at the time. To this end, he began by negotiating between his own unique, original method that borrowed formally from the works of master painters, and traditional tragic muse iconography, exemplified by the classical muse statues of antiquity and the work of Ripa. He also inserted contemporary theatrical elements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this conceptual character. Dramatic devices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tragic muse sitting on a pedestal or the two personifications in the dark background, as well as several detailed expressions including the clothes and hairstyle of the tragic muse, reflect the actual theatrical environment at the time of the painting. Reynolds’ “grand style” of portrait, which thus struck a fitting harmony between existing traditions of reproducing the tragic muse, his own particular formal borrowings, and the 18th century theatrical context, itself became a new standard for reproduction of the tragic muse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is was Reynold’s method of formal expression in the Tragic Muse. For the actual theme of the tragic muse itself, too, he attempted to visualize the essence of tragedy according to Aristotle, rather than following contemporary traditions of tragic muse reproduction, which were frequently related to “Melancholy.” In other words, by personifying and expressing “Pity”, “Fear” and “Contemplation” respectively, in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two figures and the posture of Siddons, Reynolds attempted to give pictorial form to the meaning and purpose of tragedy: “revelation of the truth.” Reynolds’ logical argument in his Discourses on Art that equates the genre of tragedy with historical paintings is a decisive factor in linking the image of Siddons in the Tragic Muse to the moral function of historical paintings.
    The esthetic theory that appears in the Tragic Muse, meanwhile, acquired further authority thanks to the increasingly stable status and doctrines of the Royal Academy of Art, which was established in 1768. England’s bourgeoisie, moreover, which had become yet more conservative due to the French Revolution, created an atmosphere of patronage for theatres and tragedians by frequently mentioning the proper function that they performed in society; this atmosphere provided the social conditions that allowed the image of Siddons in the Tragic Muse to endure into the 19th century.
    Ultimately, the Tragic Muse is an attempt by Reynolds to reproduce the essence of tragedy according to Aristotle’s view of it, based on Reynold’s own esthetic theory of the portrait as a genre. The phenomenon of Siddons being revered, thanks to this work, as “tragedy personified,” meanwhile, shows the Tragic Muse to be a rather complex allegory reflecting politics, society, esthetic discourse, and particularly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dramatic stage in Engl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