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주디스 버틀러와 무성애 논의를 중심으로- (Yuri’s queer friendly extensibility –Focusing on Judith Butler’s theory and asexuality–)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4.03
53P 미리보기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주디스 버틀러와 무성애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4호 / 515 ~ 567페이지
    · 저자명 : 유운기

    초록

    백합물은 일반적으로 여성 간의 사랑을 다루는 로맨스 장르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여기서 ‘여성’에 트러블을 일으켜보고자 한다. 페미니즘 담론에서오랫동안 ‘여성’은 하나의 단일한 의미가 아니라 여러 의미들이 복합적으로작동하는 용어로 이해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섹슈얼리티는 생물적 성인 ‘섹스’와 사회구성적 성인 ‘젠더’로 나뉘어 논해져 왔다. 그런데 주디스 버틀러에따르면 ‘섹스’라고 이해되는 것들조차도 대부분 ‘젠더’로 다시 이해되며, ‘여성’이라는 주체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 것이다. 오히려 섹스가 실재하는 것이라는 이해가 젠더의 결과이며, 이 젠더는 수행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얼마든지 재구성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를 통해 ‘여성(범주) 없는 페미니즘’을 주창했던 주디스 버틀러의 주장을 따라가며, ‘여성(범주) 없는 백합물’이 가능한지 묻는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백합물이 가진 퀴어 친화적 양상이이성애 규범성을 넘어 유성애 규범성까지도 문제 삼을 수 있는지 그 확장성을탐색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본고는 우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이론을 소개하고 ‘여성’이라는 범주가, 무엇보다 ‘섹슈얼리티’라는 범주가 단일하고 고정된개념이 아니라 수행적으로 형성되는 복합성과 불일치성을 지닌 여러 정체성의 다발임을 밝힌다.(II) 이어서 백합물에서 호명하는-호명되는 ‘여성’이 누구인지를 그 장르적 고고학을 통해 알아보고, 이 궤적 속에서 백합물과 에스물의 관계 그리고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을 이상화했던 레즈비어니즘과 상관하여 백합물이 갖는 함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III) 덧붙여 어떠한 성-정체성이 고정되지 않는 것이라면 그것이 곧 성-정체성의 퀴어성과 닿아있음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을 드러낸다.(IV) 이윽고 앞의 논의를 기반으로 퀴어 친밀성에 대한 논의를 무성애에 대한 논의로 전유하여,무성애의 관점에서 백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만든다.(V) 이는 백합물에 대한 탐구임과 동시에 섹슈얼리티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며, 백합물에서 재현되는 ‘여성’을 문제 삼는 것을 넘어서 섹슈얼리티 자체 그리고 ‘사랑’을 문제 삼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Yuri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romance genre that deals withlove between woman. This paper seeks to cause trouble for ‘woman’here. In feminist discourse, ‘woman’ has long been understood not asa single meaning but as a term with multiple meanings operating in acomplex manner. and among that, sexuality has been divided into ‘sex’,a biological sexuality, and ‘gender’, a socially constructed sexuality.
    However, according to Judith Butler, even things that are understood as‘sex’ are mostly re-understood as ‘gender’, and the subject called ‘woman’is not real but constructed. Rather, the understanding that sex is real isa result of gender, and since this gender is performatively created, it canbe reconstructed as much as desired. This paper follows the argumentof Judith Butler, who advocated ‘feminism without woman(category),’and asks to possiblity of ‘Yuri without woman(category)’. And, In doingso, it explores the ways in which Yuri’s queer friendly attitude canproblematize sexual normativity beyond hetero-sexual normativity.
    In order to that, this paper first introduces Judith Butler’s gendertheory and explains that the category of ‘woman’ and, above all, thecategory of ‘sexuality’ are not a single and fixed concept, but rathera bundle of identities with complexities and inconsistencies that areconstructed performatively.(II) Second, through the archaeologyof the Yuri genre, this paper explore who is the “woman” are calledand called by Yuri. And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uri and ‘S’, and the meaning of Yuri as itrelates to lesbianism, which idealized “women who love women.”(III)Third, this paper argue that if gender-identity is not fixed, it is incontact with the queerness of gender-identity. And reveals the queerfriendly extensibility of Yuri.(IV) Finally, in the previous discussion,the discussion of queer intimacy is appropriated by the discussion ofasexuality, and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Yuri fromthe perspective of asexuality.(V) This is an exploration of Yuri and atthe same time an exploration of sexuality. And It can also be said that itgoes beyond problematizing the ‘women’ has been represented in Yuriand will continue to work problematizing sexuality itself and the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