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과 상수도 수질 논쟁 (1928 the typhoid epidemic in Seoul(Gyeongseong) and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9.02
35P 미리보기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과 상수도 수질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01호 / 159 ~ 193페이지
    · 저자명 : 백선례

    초록

    식민지시기 내내 조선에서 장티푸스는 가장 흔한 전염병 중의 하나였다. 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전염병인 장티푸스는 같은 수인성 전염병인 콜레라처럼 치사율이 높지 않았고 매년 일정한 시기에 발생하는 전염병이었기 때문에 방역당국의 우선순위는 아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병이었기 때문에 방역에 더 어려운 점도 있었다.
    장티푸스를 매개하는 것으로는 물, 우유, 야채, 과일 등이 있었으나 장티푸스가 발생할 경우 가장 큰 의심을 받는 것은 주로 물이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사람들이 식수를 공급받는 방법은 크게 우물과 수도였고 대개는 우물이 더 강력한 병원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은 상황이 달랐다.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은 한겨울부터 초봄까지 발생하였으며 일본인들에게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특이점에 따라 장티푸스의 병원으로 우물이 아닌 수도가 더욱 부각되었다. 상수도 시설의 불완전함과 수질이 논란의 중심이 되었고 수도가 병원이 아니라는 경성부측과 수도가 장티푸스 발생의 원인이라는 의학계측의 의견이 대립하였다. 의학계, 경성부 관계자, 시민, 언론인 등 각계각층의 일본인들이 수질과 상수도 시설을 둘러싼 논쟁을 펼쳤으나, 장티푸스가 점점 사그라지면서 1928년 상수도 수질 논쟁은 결론도 없이 흐지부지 마무리되었다. 이러한 결과와는 별개로 상수도 수질 논쟁 과정에서 당대 최고이자 최대의 시설을 내세웠던 경성 상수도 시설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으며, 의학계로서도 완전한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1928년의 장티푸스 유행과 수질 논쟁은 이후 경성의 상수도 관리나 시설 개선의 특별한 계기가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경성의 상수도 확장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되었으나 문제가 되었던 상수도 시설의 개선은 좀 더 이후에 진행되었다. 결국 1928년 경성의 수질 논쟁은 조선 의학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지닌 경성제대 의학부와 조선 내 최고의 상수도 시설을 내세운 경성부의 책임회피와 함께 당시까지의 의학 지식과 근대적 시설이 가지는 취약점을 노출한 채 마무리되었다.

    영어초록

    During the colonial period, Typhoid fever wa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us disease in Joseon. Typhoid, a water-borne disease, occurred at a certain time each year, although its fatality rate was lower that of the same water-borne disease, cholera. Typhoid was not a priority of the sanitary authorities, but it was more difficult to prevent because it was a common disease. Milk, vegetables and fruits were also the causes of typhoid, but the main cause was water.
    In the colonial Joseon, people were supplied with drinking water primarily through well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and wells were generally blamed for the cause of typhoid. However, the typhoid epidemic of Seoul(Gyeongseong) in 1928 was different.
    In 1928, typhoid epidemic broke out in Seoul from midwinter to early spring and the patients of typhoid were mostly Japanese. Therefore, the water supplies were pointed out as the cause of typhoid. The deficiencies and water quality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were embroiled in controversy. There was a disagreement between the Gyeongseong city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that water supply was the cause of typhoid outbreak. Japanese of all levels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circles, Gyeongseong city government officials, citizens, and journalists, argued over water quality and water supply facilities, but as typhoid faded away, the debate on water quality ended without a conclusion. In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the problems of the Gyeongseong Water Supply System, which used to be the largest facilities of the time, were clearly revealed. The medical community also failed to win a complete victory.
    In 1928, the typhoid epidemic and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did not serve as a momentum for the management or establishment of the water supply of Seoul. The water supply expansion plan went ahead as scheduled, but the improvements to the water supply facilities was carried out more later. In the end, in 1928, in the debate about water quality,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Gyeongseong city government were busy trying to shift the responsibility to others. In 1928, the typhoid epidemic ended up in exposing the weaknesses of medical knowledge and modern facilities until th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