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스 정신 (Posthumnanism and Posthumus Mi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4.06
17P 미리보기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스 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77권 / 1 ~ 17페이지
    · 저자명 : 김용해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을 모더니즘적 인간관을 비판하고 새로운 인간관을 모색하려는 사조로 한정하여 탈인간중심주의, 탈자아중심주의를 지향하는 윌리엄 데스먼드의 사이론적 존재론과 포스트휴머스 정신을 검토하고 평가한다.
    [연구 내용] 우선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용어의 다양한 양태를 살피고 모더니즘적 인간관을 비판하고 새로운 인간관을 모색하려는 용례의 포스트휴머니즘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한다.(I) 이를 위해 존재의 선성을 강조하는 자연법과 존재의 비동일성을 강조하는, 아도르노와 하버마스의 비판철학의 입장에서 주체 우위 대신에 존재 우위와 상호주체성 우위의 가능성을 전개한다.(II) 그런 다음 존재의 자기화와 초월, 존재의 생존욕구와 존재의 인내 등의 원리를 통해 존재가 어떻게 자기되어감의 과정에서 타자와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정신적 존재인 인간은 존재 공동체에서 어떤 위상을 갖고 어떻게 자아를 완성하는지를 윌리엄 데스먼드의 사이론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검토한다.(III.&IV.) [결론] 본 연구의 결론으로 존재의 ‘고유 가치’를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첫째, 모든 존재는 존재공동체의 성원으로서 자신의 방식대로 주어진 존재의 선에 봉사하면서 완성되어 간다. 둘째,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존재는 상호의존적인 창조계의 일부로서 존재론적으로 같은 의미와 조건에서 존재공동체에 봉사하며 따라서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다른 존재들보다 더 우월하지 않다. 셋째, 인간은 존재공동체의 정신을 가진 성원으로서 모든 존재가 우주 진화와 정신의 진보에 고유 가치와 임무를 수행하도록 돕는 생태문명을 건설해야 한다. 넷째, 데스먼드의 존재공동체 비전은 유기체와 물리적 요소의 복합체를 포괄한 생태학을 정립하고 생태 문명의 기초를 세우는데 기여할 형이상학적 기초이다.

    영어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mit the use of posthumanism to the meaning of pursuing a new view of humanity while criticizing the modernist view of humanity, to examine William Desmond's metaxological ontology and the posthumus mind, which pursue post-anthropocentrism and post-selfcentrism, and to evaluate them.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we look 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term posthumanism and limit the research object to posthumanism, which is used to criticize the modernist view of humanity and seek a new view of humanity. (I) To this end, natural law that emphasizes the goodness of existence and the non-identity of being are examin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itical philosophy of Adorno and Habermas, which offer the possibility of the superiority of being and the superiority of intersubjectivity instead of the superiority of the subject. (II) Then, we will consider some principles of being, like the self-becoming and transcendence of being, and conatus essendi(the desire for being) & passio essendi(patience of being) according to William Desmond's metaxogical ontology, and examine how beings interact with others in the process of becoming themselves, and what status humans, as mindful beings, have in the community of beings and how they complete their selves. (III .&IV.) [Conclusion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intrinsic value’ of being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all beings are members of a community of beings and are perfected by serving the good of being in their own way. Second, all beings, including humans, are part of an interdependent creation and serve the community of beings with the same ontological meaning and conditions, and therefore humans are not ontologically superior to other beings. Third, as mindful being of the community of beings, humans must build an ecological civilization that helps all beings carry out their inherent values and promises in cosmic evolution and mindful progress. Fourth, Desmond's vision of the community of being is a metaphysical foundation tha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ecology encompassing a complex of organisms and physical elements and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n ecological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