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도 일본 古文辭學派의 유가 사상에 대한 변용 및 도구화: 오규 소라이·다자이 슌다이의 인성론을 중심으로 (Variations of Confucian Ideology and its Instrumentalization in the Ancient Text School of Edo Japan: Focusing on the Theories of Human Nature by Ogyu Sorai and Dazai Shunda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5.03
29P 미리보기
에도 일본 古文辭學派의 유가 사상에 대한 변용 및 도구화: 오규 소라이·다자이 슌다이의 인성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15호 / 85 ~ 113페이지
    · 저자명 : 배다빈

    초록

    본고는 일본 에도 초·중기 유가 사상 발전의 일각을 차지했던 古文辭學派의 대표적 인물, 오규 소라이·다자이 슌다이의 인성론을 조망해봄으로써 에도 막부 정권 및 사회의 문화 가치 이념이 적용된 독특한 사회 질서관을 조망해본다. 표면적으로, 그들은 동시대 몇몇 ‘고학파’로 분류되는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주자학이 정초한 형이상적 인식론·인성론을 부정하고 공자를 대표로 삼는 고대 유가 사상의 인성론·수양론을 추종하였다. 한 편으로 이는 명말청초 시기 일군의 유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경세치용’ 학으로서의 유학의 본의를 주장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에도 일본 특유의 문화· 사상적 특수성이 반영된 사유의 산물로서 독특한 질서관을 보인다. 이 질서관은 인성의 다양성·불가변성과 개체의 주동적 도덕수양론에 대한 결핍이라는 두 가지 주장을 논리화함으로써 수직적 계급 질서를 정당화하고, 따라서 표면적으로는 전통 유가 사상의 원류로의 회귀를 주장하지만, 오히려 그 본질의 핵심 부분을 탈각함으로써 사상을 ‘도구화’하는 양상으로 귀결될 뿐 아니라, 인간·사회관에 있어서 고대 중국의 法家 屬 인간관과 내재적 정합성을 보이며 일련의 탈유가적인 특징이 그들 사상 속에 공존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human nature put forth by Ogyu Sorai and his disciple, Dazai Shundai, who were key figures of the Kobunji-kakuha (古文辭學 派)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thought during the mid-Edo period in Japan. On the surface, much like the actions of some contemporary scholars classified as 'Kokaku-ha,' they rejected the metaphysical epistemology and theory of human nature established by Neo-Confucianism and followe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cultivation from ancient Confucian thought, embodied by Confucius. On one hand, this appears to assert the original intent of Confucianism as a study of statecraft and practical application, as proposed by a group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However, it actually exhibits a unique order reflecting the distinctive cultural and ideological particularities of Edo-period Japan. By exploring these theories, I aim to shed light on the unique view of social order that was applied to the cultural value ideologies of the Edo shogunate regime and society. This view justifies a vertical class order by logically articulating two claims: the diversity and immutability of human nature and the deficiency of proactive moral cultivation of individuals. It advocates for a return to the origins of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yet, by shedding the core aspects of its essence, it results in a 'instrumentalization' of the thought. Furthermore, it aligns with the theories of the school of law (法家) from ancient China, creating an intrinsic coherence, which allows for an anti-Confucian aspect to coexist within their philosophical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