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 브랜드 쉬림프의 작품 특성 연구 -2015 S/S∼2020 F/W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Shrimps’ Works -Focusing on Fashion Collections from 2015 S/S to 2020 F/W)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1.03
17P 미리보기
패션 브랜드 쉬림프의 작품 특성 연구 -2015 S/S∼2020 F/W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1호 / 75 ~ 91페이지
    · 저자명 : 김선영

    초록

    오늘날 디자인 창의성과 윤리적 패션의 접점을 찾으려는 요구는 패션 산업 전반에 걸쳐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조 모피 코트라는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하여 창의적인 패션 세계로 확장하고 있는 쉬림프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 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쉬림프에 대한 고찰과 2015 S/S부터 2020 F/W까지 작품 분석의 사례 연구이다.
    작품 분석은 시즌별 콘셉트와 조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 발상은 시즌에 따라 다르지만, 윤리적 소재 사용과 함께 여러 예술가나 예술 작품에대한 탐닉,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이나 취향 등 디자이너가 선호하는 모든 것을 종합하여 재해석함으로써차별화된 개성을 전달하였다. 실루엣은 사각형의 스트레이트나 A라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코트 중심의아우터가 핵심 아이템으로 나타났다. 색은 선명하고다채로운 팔레트와 다양한 색상 조합으로 경쾌한 이미지를 나타냈다. 소재는 시즌을 거듭하면서 다양한소재로 변화를 주었으나 다채로운 재질감으로 표현한 인조 모피나 가죽 소재의 사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여러 유형의 문양, 수작업 일러스트, 브랜드로고나 심벌을 프린트, 자수, 패치 장식 등으로 적용하여 개성을 나타냈다. 분석 내용을 종합한 결과 쉬림프 패션에 반영된 특성은 첫째, 인조 모피나 가죽을대안 소재라는 기존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션을창조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하고 발전시켜나감으로써창의성을 모색하였다. 둘째, 모든 예술 영역에서 얻은영감을 컬렉션 주제, 색, 문양, 무대 연출 등으로 재해석함으로써 패션과 예술의 융합을 모색하였다. 셋째,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수작업 일러스트를 통해자유로운 해방감을 전달하는 유희성을 표현하고 브랜드 고유의 개성을 전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정관념을 벗어나 새로운 창의적시각으로 패션을 전개하는 쉬림프의 차별화된 디자인발상과 표현 방법을 탐색할 수 있었다. 앞으로 패션영역에서 창의적인 디자인 전개와 더불어 윤리적 패션이나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민하고 노력하는 브랜드의 저변 확대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se days, the interface is being sought for between design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throughout fashion industry.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Shrimps’ work starting from a simple idea with synthetic fur coat and comprehen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 performs the review on Shrimps and case study of works during the 2015 S/S~2020 F/W period. Analysis about works was focused on seasonal concept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Research outcome shows that, in terms of design concept, a differentiated personality was presented by summing up designer’s preferences and interpreting them again such as use of ethically accepted material, desire for artist or artistic works, and emotion or taste sensed in daily life. Silhouette took a shape of tetragonal straight or A-line mostly and coat-focused outer appeared as core item. Color indicated a bright image with diverse palettes and different mix of tints. Material showed changes as seasons went by but synthetic fur or leather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Personality came up with print, embroidery and patch ornament by using various patterns, manual illustration, and brand logo or symbol. Results from Shrimps fashion’s characteristics are summed up as following. First, the conventional view that synthetic fur or leather is just an alternative becomes obsolete. Rather, it is recognized as tool generating a new fashion and is further developed. This triggers a creativity. Second, inspiration obtained from all art areas is reinterpreted with collection theme, color, pattern, and stage production, and through which the convergence of fashion and art takes place. Third, playfulness of a sense of freedom is represented through handmade illustration stimulating the boundless imagination, and brand’s unique individuality is depicted.
    This research found the design concept and expression method that Shrimps’ differentiated design idea gets out of the stereotype and unfolds the fashion with creative viewpoint. Hopefully, in the future fashion field, contemplation on ethical fashion and sustainability would be performed along with creative design contin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