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 초중기의 숲 인식 변화 (Changes in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 Forest: - Examination of the Early and Middle phases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7.03
33P 미리보기
삼국 초중기의 숲 인식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03호 / 43 ~ 75페이지
    · 저자명 : 서민수

    초록

    한국고대사에서 숲을 주제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영향으로 농업 생산과 그에 따른 고대국가의 성장을 주목한 기존의 연구 관점에서 숲은 농경지로 전환되어야 할 땅덩이에 불과했다. 그러나 생태환경사 연구 성과가 쏟아지면서, 숲이 도리어 인간사회에 미친 영향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 숲은 인간사회와 오랫동안 ‘대화’하며 서로가 서로를 재구성한 역사 주체로 재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삼국시대 초중기의 숲을 인간사회와 상호작용한 역사공간으로 조명하려 했다. 초점은 삼국초중기의 인간이 숲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그리고 숲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인식 변화까지 파악하는 데 두었다. 인간의 숲 인식은 구체적인 행위로 이어지기도 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검토한 바에 따르면 삼국 초중기의 숲은 일상공간과 분리된 신성한 ‘외부세계’였다. 그러나 철기문화의 발달로 숲 개간이 원활해지면서 숲의 신성은 박락되었다. 그 신성의 공백을 차지한 것은 고대국가의 왕이었다. 삼국초중기의 왕은 사냥이나 임산물 채취, 농지 개간, 행정구역 편입, 건축물의 건립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숲에 지배력을 확대했다. 이러한 조치 속에서 삼국 초중기 숲은 점차 인간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내부세계’로 전환되었다.

    영어초록

    So far, there has been practically no adequate study which concentrated its intention upon “forests” in the history of Korea, let alone the ancient periods. Probably influenced by a Marxist historical perspective, forests were generally only regarded (by scholars engaged in studies of ancient states’ formation and growth based upon agricultural production) as a land mass that were usually or at least slated to be diverted into cultivatable space. However, a series of recent studies determined to examine past ecosystems and ecological conditions are literally forcing us to newly contemplate upon the influences forests would have had upon human communities for a change. It is now imperative for us to perceive forests as a living and breathing counterpart that have coexisted with human societies for centuries.
    In this article forests of the early and middle phases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are examined as a space which actually interacted with the humans. How the people of this period perceived them(forests), and how their(the people’s) perspectives changed according to alterations that occurred inside the forests would be the prime focu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eople’s perception of forests often led to physical actions on the humans’ part.
    Research shows that forests of the early & middle phases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were actually separated from the normal world, and considered quite numinous. Then, as the iron-based culture started to bloom and reclamation projects began to hit the forests, forests were suddenly deprived of their deity-like status. The entity who obtained such status from the forests was no other than the king of ancient states, as they expanded their authority upon forests by embarking upon royal hunting trips in forests, collecting woods and other materials there, creating agricultural fields or launching royal constructions inside, and even absorbing entire forests into preestablished local units. In the process, forests of the early & middle phases of the Three dynasties period left the ‘outer realm’ permanently, and were pulled into the ‘normal world,’ filled with ordinary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