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복합적 신체 이미지와 사회적 지원 (The Complexity of Body Image in Post-Mastectomy Women and Social Suppor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0.02
19P 미리보기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복합적 신체 이미지와 사회적 지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4권 / 1호 / 129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영란

    초록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통하여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들이 생각하는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유방암 수술을 한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몸의 변화를 통해 여성성 상실뿐만 아니라 신체적 고통, 죽음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회적 시선 등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신체 이미지로 투영된다. 따라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실제 삶의 질과 밀접히 연결되며, 수술 후 경험하는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유방암에 대한 연구는 유방암 수술을 받은 여성들의 신체 이미지를 여성성 상실이라는 단일한 차원에서 논의하기보다는 다차원적인 면에서 고찰대상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 이미지, 사회적 지원 욕구, 삶의 질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연구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유방암 수술 후에는 신체적 고통과 죽음에 대한 가능성 및 두려움을 생각하며, 치료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심리적 위안을 들고, 그 다음으로 질병과 관련된 정보, 지식제공을 꼽았다. 둘째, 신체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신체의 불완전성(Boby Stigma), 팔의 장애(Arm Concern), 신체에 대한 관심(Body Concerns), 신체의 취약성(Vulnerability), 신체활동 제약(Limitations), 타인의 시선 인식(Transparency) 등 6개 영역에서 평균을 훨씬 웃도는 높은 정도의 부적 이미지를 보였으며, 신체 이미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수술방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의 이미지는 다른 변인에 비해 삶의 질에 더 큰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외형보정, 신체적 심리적 고통과 관련된 정보 및 지식, 정신적 지원 등 복합적 신체 이미지에 따른 사회적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s at mapping out social service programs through women performed the surgery to remove their breast cancer by examin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grasping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Post-mastectomy women cannot help experiencing loss of their feminity and physical pains. Not only that, but they should face recognition of death, social gaze and so on. These various experiences caused by their physical change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ir body image. It, therefore, can be said that their body im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recognition of their own body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actual lives. The changes which women might experience after surgery have usually negative influence on their lives. Researches on women's breast cancer have been made focusing on the one-dimensional body image, that is, loss of their feminity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Recent researches on the same subject, however, trend to handle various aspects of their body image. The study also inquires their body image and needs for social support,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etc. through women performed their breast cancer surger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women think of physical suffering and possibility and fear of death. The thing tha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medical care is their psychological comfort. And it is then necessary that they get disease-related information or knowledge. Second, six sub-elements of body image such as body stigma, arm concern, body concerns, vulnerability, limitation, and transparency show negative image by high degree of above the average. The element which affects the body image most is the method of surgery. Third, the body image gives more accurate explanations for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an other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suggests the necessary policy of social support for women who undergo mastectom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as 'Look good and feel better', 'Information about what to expect and about symptom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 for the existential body, 'Active listening to fears and concerns and providing assistance as needed' according to complexity of body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