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흥(順興) 치성황제(邑治城隍祭)의 형성과 변화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up-Chi-Seong-Hwang Ritual of Sunheu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순흥(順興) 치성황제(邑治城隍祭)의 형성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23호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이영재

    초록

    지금까지 순흥의 읍치성황제에 대한 연구는 이기태에 의해서 20세기 이후 조직된 나무꾼 집단인 초군청의 설립과 기능을 중심으로 주로 정치적 측면에 집중되었다. 그에 따라서 읍치성황제의 형성부터 조선시대 순흥부의 혁파나 복설 등 다양한 정치·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른 변화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깊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재구하고, 이를 통하여 성황제의 형성부터 20세기 초까지 변화상을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순흥의 읍치성황제는 순흥부의 진산에 위치한 비봉산 성황사에서 제의적 전통이 시작되었으며, 성황사의 위치 및 신위의 형태로 볼 때 고려시대에 설립되어 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에 따라서 조선 초 사전의 정비정책으로 인하여 신위를 목상에서 위패로 교체해야 했지만, 단종복위사건으로 인하여 순흥부가 혁파됨으로써 고려시대의 제의적 전통이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1682년 순흥부의 복설 이후 비봉산 성황제는 고려시대의 제의적 전통으로 인해서 복권되지 못했으며, 순흥부는 당시 사전에 따라 율림에 새롭게 성황단을 설치하여 읍치성황제를 지내게 된다. 하지만 비봉산 성황사는 18세기 순흥부가 충절지로 재평가되고, 소빙기에 따른 자연재해가 급증하며, 향리들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관민주도형 성황제로 거듭나게 된다.
    셋째, 19세기 이후 향리들의 관심이 수령권과 결탁한 수탈로 바뀌자 관민주도형 제의였던 비봉산 성황제는 급속도로 구심점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1896년 조선이 패망하자 관주도의 제의였던 율림의 성황제는 중단되었고, 관민주도형 제의였던 비봉산 성황제는 1900년 경 초군청으로 제사권이 이전됨으로써 민주도형 제의로 변화된다.
    넷째, 나무꾼 조직이었던 초군청은 작업의 안전을 위하여 1906년 두레골 성황당을 중수하여 제의를 지내게 됨에 따라 읍치성황제는 단당체계에서 이당체계로 변화된다. 비봉산 성황사는 고려시대부터 전승된 고을의 성황이라는 점에서 ‘본당’으로 불리게 되며, 두레골 성황당은 소백산맥 능선에 위치하여 지리적 위치관계에 따라 ‘상당’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다섯째, 1930년 무렵 지역에서 부호였던 이○화씨가 죽동의 성황당에 모셔져 있었던 혈석을 두레골로 이안하라는 현몽을 함에 따라 초군청에서는 주도적으로 이안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혈석은 순흥을 충절지로 격상하게 한 금성대군으로 인지되고 있었기에 두레골 성황당보다 높은 위치에 별도의 제당으로 모셨으며, 이로 인하여 <본당:상당>의 이당체계는 오늘날처럼 <본당:산신당:금성대군당>의 삼당체계로 변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순흥에서 치러지는 읍치성황제는 순흥부를 위한 본당제, 초군을 위한 산신제, 그리고 문화영웅을 위한 금성대군제라는 3가지 서로 다른 의미의 제의가 결합된 독특한 제의구조를 갖게 되었다.

    영어초록

    So far, existing research works on the Eup-Chi-Seong-Hwang ritual of Sunheung, the central of which is that of Ki-tae Lee, are largely based on a polit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and function of the Cho-gun-cheong, a group of woodcutters formed around the 20th century.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ritual’s formation and later transformations caused by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the abolition of old, traditional rules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Sunheungbu rule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a reconstruction of relevant time periods and a combination of several documentation studies and visits to the sites, which l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Seong-hwang ritual from its beginning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following facts are presented.

    Firstly, the Eup-Chi-Seong-Hwang ritualistic tradition of Sunheung began in Seong-hwang-sa of Mt. Bi-bong, located in the Jin mountain of Sunheung bu.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hin-ui was replaced by an ancestral tablet from its original wood statue. The ritualistic style from the Goryeo Period however was retained despite the abolition of the Sunheungbu upon the restoration of King Dan-jong to the throne.
    Secondly, after the reestablishment of the Sunheungbu in 1682, the Seong-hwang ritual was not restored because of its Goryeo style. Sunheungbu began the Eup-Chi-Seong-Hwang ritual upon constructing the Seong-hwang shrine in Yul-lim. However in the 18th century, the Seong-hwang-sa of Mt. Bi-bong was reestablished and considered once again by officials and the people as the official location of the Seong-hwang ritual. This came about as the Sunheungbu gained the status of “Locality of Loyalty”, and as natural disasters abounded during what is called the “little ice age”, and as the Hang-ri’s thrived.
    Thirdly, after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as the Hyang-ri became preoccupied with its power and plundering, the Seong-hwang ritual was moved away from Mt. Bi-bong as its center of operation. With the destruction of the Joseon Dynasty, the Seong-hwang ritual of Yu-lim, which used to be conducted by the officials, was suspended. It was transformed into a people’s ritual, as the rights to hold the ritual was transferred to Cho-gun-cheong around the year 1900. The Cho-gun-cheong used to be a woodcutters’ organization,
    Fourthly, as the Cho-gun-cheong began to hold the ritual at the Seong-hwang Shrine in Du-re-gol after it was renovated, the Eup-Chi-Seong-Hwang ritual became a double-shrine system, instead of a single-shrine. With this change, the Seong-hwang-sa of Mt. Bi-bong was then referred to as the ‘head shrine,’ meaning that it has become the shrine of the area which continued to commemorate the ritual since the Goryeo Period. The Seong-hwang-dang of Du-re, since it was located at the ridge of Mt. So-baek, was called ‘sang [high] shrine.’
    Fifthly, a certain Mr. Lee, a famous rich person during the time, had a dream. Based on his dream, Cho-gun-cheong initiated a project that transferred the bloodstone of the Seong-hwang shrine from Juk-dong to Du-re-gol. Since the bloodstone was recognized as Royal Prince Kum-Seong, who gave Sunheung the honored position of the Locality of the Loyalty, it was placed in a separate shrine, higher than the Seong-hwang Shrine of Du-re-gol. With this, the double-shrine system became triple-shrine, with the addition of the Royal Prince Kum-Seong’s shrine.
    Because of the above eventualities, the current Eup-Chi-Seong-Hwang ritual of Sunheung now has a distinct characteristic as being a combination of three different rituals: head-shrine ritual for Sunheung bu, San-shin ritual for Cho-gun, and the ritual for the Royal Prince Kum Seong, the cultural her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