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에 나타난 수혈주거지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Dwelling Sites in Ul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2.05
35P 미리보기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에 나타난 수혈주거지 변화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47권 / 173 ~ 207페이지
    · 저자명 : 황대일

    초록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앞 시기인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에서 나타나는 벽석렬과 주혈의 규칙성이 확인되지 않으며, 면적이 15㎡ 전후로 벽로 중심의 시설이 설치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이처럼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 내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는 문헌기록과 면적, 구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때 최하층민의 주거형태에 해당한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의 분포는 소규모, 중소규모, 대규모 취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규모 취락은 주요 교통로 또는 역원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지리적으로 모두 태화강 북쪽에 위치하며, 취락 주변에 소규모 취락과 중소규모 취락이 함께 분포하는 양상이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대규모 취락에서 수혈주거지 시기별 변화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15세기 중반부터 수혈주거지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16세기에는 취락마다 수혈주거지의 수량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17세기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면서 18세기가 되면 취락 내에서 거의 수혈주거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시기별 변화의 요인은 4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주거형태의 변화로 17세기 이후 수혈주거지에서 지상건물지로의 변화이다. 둘째, 입지의 변화로 농업기술과 사회ㆍ경제활동의 발달로 인해 취락의 중심이 구릉에서 평지로 이동하였다. 셋째, 인구변화로, 16~17세기에 발생한 양란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원인이 작용하여 취락 내 수혈주거지의 개체 수 또한 급격히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촌의 설치와 정비, 해체가 역촌의 형성과 소멸로 연결되어 취락 내 수혈주거지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dwelling sites in the Joseon Dynasty is not confirmed the regularity of stone rows and column holes in the walls tha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Its area was around 15㎡, and it had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 facilities installed around a fireplace on the wall.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size, and structure, the dwellings within the village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Ulsan area correspond to the housing type of the lowest clas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residential change process in large-scale settlements of the Joseon Dynasty in Ulsan area was that the number of dwellings in each village increased rapidly in the 16th century, as the number of dwellings began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From the 17th century, it was decreased sharply, and by the 18th century, not only villages but also dwellings were almost absent.
    The factors of residential change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in Ulsan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it is the change of the building site in the residential area after the 17th century. Second, the center of the village was characterized by moving from the hills to the plain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social, economic activities. Third, the population was decreased rapidly due to the two great wars that occurr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dwellings within the village was also decreased sharply. Lastly, it is thought that set-up and withdrawal of the station with inns led to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of the station area, affecting the change of residence in the vil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