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성에 기반한 명상상담 모형탐색 -보조국사의 『수심결』을 중심으로 (Exploring About Spirituality Based Meditation Counselling Model)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1.02
43P 미리보기
영성에 기반한 명상상담 모형탐색 -보조국사의 『수심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5호 / 499 ~ 541페이지
    · 저자명 : 김형록

    초록

    본 논문은 보조국사의 『수심결』을 영성에 기반한 명상상담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먼저 영성에 대한 서구 심리학계에서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분석심리학, 인본주의, 제3세대 인지행동치료의 관점들을 소개한다.
    그런 다음 『수심결』을 간화선의 관점에서 보고, 여기서 영성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수심결』에서 영성은 ‘공적영지’, 곧 텅 비어 있음, 고요함, 신령스러움, 깨어있음으로 이해할 수가 있다.
    『수심결』에서 보여주는 문답은 결국은 이런 공적영지의 영성에 기반한 명상상담으로 그 성격을 규정할 수 있다. 이때 명상상담은 영성체험으로서 명상을 돕는 상담이라고 정의할 수가 있는데, 이것은 고통 받는 내담자로 하여금 영적인 체험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 영적 성장과 깨달음을 이루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런 과정은 『수심결』에서 화두의 제기, 문제회피, 회광반조, 깨달음, 사후점검이란 5단계로서 재구성된다.
    마지막으로는 영성체험의 장애를 다룬다. 여기서는 세속적인 갈망, 회피와 굴복, 사량분별을 고찰한다. 이러한 장애가 왜 영성체험의 장애가 되는지를 검토한다. 나아가서 심리적인 문제와 영성 체험의 관계도 검토한다.

    영어초록

    The author found a model of meditation counselling based on spirituality in "Susimgyeol" by Jinul and reviewed its meaning and its process. Of course, Jinul did not write it with this point in mind but must have simply expected many people to come out of suffering through enlightenment. However, it seems to me that this might be a process of leading them to enlightenment through meditation and counselling. In this respect the author reinterpreted "Susimgyeol". The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the community of psychology, the concept of spiri-tuality is defined in various perspectives: Carl Jung showed a tendency to recognize transcendental spirit or existence of soul, but refused to understand spirituality in the light of religion. In contrast, Maslow did not link spirituality to spiritual being but defined it as peak experience, pure content experienced by man. On the other h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which develops relax techniques and accepts meditation favorably, defines spiri-tuality as instantaneous sati(mindfulness) in practical terms Second, Buddhist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is synonymous with the nature of Buddha and defines it as the nature universally possessed by all living things, but it is represented in different forms due to different habitual properties and karma and understood as the nature to be experienced through meditation.
    Third, "Susimgyeol" by Jinul defines spirituality as Gong-Jeog-Yeong-Ji(空寂靈知).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as emptiness, tranquility, divineness and sati(mindfulness). This spiritual experience is experienced by means of Hwoi-Gwang- Ban-Jo(廻光反照), which is reflective self-awareness gained through Hwadu like "What is this in the end?".
    Fourth, spiritual experience, a kind of meditation counselling, consists of five stages, which are 'identification of problem → evasion → Hwoi-Gwang-Ban-Jo(廻光反照) → enlightenment → follow-up check. This process can be viewed as a good model of meditation counselling based on spirituality.
    Fifth, as spiritual experience is accompanied with viewpoint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everyday experience, it encounters unexpected obstacles, which are spiritual. This paper reviewed three obstacles; worldly yearning, evasion & submission and Sa-Ryang-Bun-Byeol(思量分別).
    This is a process of experiencing original spirituality, the nature of Buddha and original state of mind by polishing the mind, which was understood as a process of meditation counselling to attain peaceful mind and inner insight. However, a future important task is about how this process of meditation counselling should be applied to real scenes. For this purpose, case studies are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