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y values and birth policy on the wanted fertility rat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연구 / 43권 / 3호 / 239 ~ 266페이지
    · 저자명 : 배광일, 김경신

    초록

    본 연구는 가족가치관, 출산정책 등 출산 관련 변인들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희망자녀수 출산을 위한 환경 조성 방안 모색, 출산정책의 대안 모색 등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출산 완결 기혼남녀 262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출산을 완결한 기혼여성의 합계출산율은 인구대체수준과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지원정책의 확대를 통해 미혼과 만혼현상을 줄인다면 합계출산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출산지원정책은 가치관의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데, 다출산과 다자녀가정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아니라 자녀수에 상관없이 희망하는 자녀를 출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특히 희망자녀수 출산은 실질소득보다는 주관적 생활수준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므로 복지정책의 확대와 지원을 통해 빈부격차 해소와 상대적 빈곤감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출산정책에 대한 경험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모든 대상자들이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을 체감할 수 있도록 출산정책의 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purposed to produce basic materials to find a way to solve a low fertility rate in order to develop the environment for the wanted fertility rate and alternatives of the birth policy by analysing the influence of related factors such as family values and birth policy on the wanted fertility rate, For the research, the samples were selected by targeting 262 married men and women residing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and used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otal Fertility Rate (TFR) of married women who completed fertility has come close to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That means expansion of marriage support programs for the unmarried and late marriage can lead to the increase in fertility rate. And birth support policies should accept change in family values, that i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mood encouraging giving a birth as want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hildren, by getting out of the policy that focuses on multi-child and high-birth families. Especially, the wanted fertility rate is affected by not real income, but psychological factors like subjective standard of living, which means that there should be effort to reduce rich-poor gap and a relative sense of deprivation through expansion and support of welfare policies. The research showed an encounter or experience of a governmental birth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anted fertility rate, Thus, it needs to expand birth policies enough to have all the subjects meet the practical financial suppo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