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의 교생 - 책을 읽을 수 없는 鄕校의 生徒 - (Gyosaeng(校生) in Later Joseon - Students who were Illiterate in Hyanggyo(鄕校))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8.08
38P 미리보기
조선 후기의 교생 - 책을 읽을 수 없는 鄕校의 生徒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3권 / 281 ~ 318페이지
    · 저자명 : 전경목

    초록

    고문서는 전통시대의 사회상이나 생활상을 생생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로서의 막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우리 학계가 이러한 고문서의 가치에 깊이 주목하게 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로 그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수많은 자료가 발굴, 수집, 정리, 간행되었다. 그러나 이를 활용한 연구는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필자는 본고에서 미시사적인 연구방법론을 동원하여 조선후기 향교와 교생에게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규명하였다. 필자가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낸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전기에는 교생의 신분과 관계없이 향교에 출입하는 사람은 모두 교생이라고 불렀는데 조선 후기에는 평민 출신만을 교생이라고 지칭하고 양반출신은 유생이라 호칭하였다. 둘째, 양반과 평민 출신의 생도들은 서로 신분이 달랐기 때문에 향교 내에서 거처하는 곳도 달랐다. 셋째, 평민 출신의 교생들은 향교와 관아에서 거행하는 각종 祭禮와 儀禮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넷째, 향교에 배당된 생도의 定額은 유생에게는 적용되지 않고 오로지 교생에게만 적용되었다. 다섯째, 향교의 임원들은 불법적인 방법으로 많은 교생을 선발한 후 이들로부터 돈을 받아 향교의 재정을 타결하려 하였는데 수령은 향교에 지원을 하지 못하자 이러한 불법 행위를 알고도 아예 눈감아 주었다. 아울러서 간혹 감사와 수령들이 향교의 개혁안을 마련하여 이를 실시하려고 하였으나 항상 양반들의 반대에 부딪혀 좌초하였다는 사실도 규명하였다. 향교의 개혁안을 가장 지지해야 할 成均館의 大司成마저 양반들과 이해 관계를 같이 하여 개혁안에 반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영어초록

    The historical-manuscripts must be having a extremely invaluable, in that they vividly reflect the social and living aspect of traditional age. It was not happened until recently that our learned circles would pay deep attention to a value of historical manuscripts. After that, there were abundant efforts which paved the way to find, gather, arrange and publish the numerous historical-manuscripts. But the studies of practical application about these historical material were hardly accomplished. Therefore it is indispensable to research and develop a new methodology of studies.
    In this Thesis, I closely examined a matter with methodology of microhistory what had be changes in hyanggyo(鄕校, a local government educational institution) and gyosaeng(校生, students in hyanggyo). As a matter of course, most of prime material in this study was historical-manuscripts. In brief, it is like this as follows What I examined.
    First, regardless of one's social status, anyone could be named "gyosaeng" who attend hyanggyo in former Joseon. But in later Joseon, only the common people "pyeongmin"(平民, the middle class of Joseon) could be named "gyosaeng". Second, yangban(兩班, the two upper classes of Joseon) and pyeongmin had a different place of residence in hyanggyo. Third, yusaeng(儒生, a Confucian scholars who were of yangban) attended to studies at least. But gyosaeng who were of pyeongmin took charge of practical affairs and services that were related to many kinds of ceremonies. Fourth, Jeongaek(定額, registered number of people by government) of students which local government allot to hyanggyo was not apply to yusaeng but only gyosaeng. Fifth, after executives of hyanggyo illegally picked many number of gyosaeng out, they wanted to solve a financial problem of hyanggyo due to collecting contributions from gyosaeng. Thought suryeong(守令, a local governor) knew all these fact, he would overlook an illegal process of picking out. Because suryeong could not support hyanggyo in financial way.
    In addition, while hyanggyo in later Joseon could not carry on its own functions and fulfill its duties, gamsa(監司, a provincial governor) and suryeong tried to make and put in operation a reform bill about hyanggyo management. But yangban had always been against to the reform bill, so governor's efforts to change the hyanggyo became in vain. Moreover occasionally even daesaseong(大司成, a chief officer in Seonggyun-gwan) of Seonggyun-gwan(成均館) who should extremely support a reform bill opposed reforming hyanggyo because their concern and interest were in company with yangb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