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黃壽永 博士의 靑銅銀入絲香垸 硏究 (A Study on Dr. Hwang Soo‐yeong’s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12
19P 미리보기
黃壽永 博士의 靑銅銀入絲香垸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3호 / 299 ~ 317페이지
    · 저자명 : 김창균

    초록

    우리나라 미술사학계의 은입사향완에 대한 연구 역사를 살펴보면 1957년과 1960년에 발표된 「봉은사 향로와 범종」과 「고려은입사향완의 新例」라는 논고를 시작으로, 1961년부터 1968년에 이르기까지 『고고미술』을 통해 8편의 단편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을 뿐이다. 이에 이어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1963년 『불교학보』 제1집을 통해 발표된 황수영 박사의 「高麗靑銅銀入絲香垸의 硏究」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고 하겠다.
    그 동안의 단편적인 자료에 비해 국내․외 소재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을 총망라해 놓아 고려시대 고배형 청동은입사향완의 총론적인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고려청동은입사 향완의연구」는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명칭을 ‘香垸’ 으로 하고, 일본과 영국 소재의 금산사향완과 소재사향완은 받침대임을 분명히 밝힌 점, 명문분석을 통해 ‘銀入絲’에 대한 기법적인 면과 향완 조성에 관련된 功德主, 僧侶, 匠人들을 밝혀냄으로써 청동은입사향완의 체계적인 연구 발판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지대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고려시대 고배형청동은입향완의 선도적 연구라는 점과 불교공예에 있어서 향공양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점, 이와 함께 여러 가지 불구가운데에서 향완이 차지하는 위치를 분명하게 밝힌 점, 향완의 형태 및 형식을 체계화 하고 은입사 기법 연구에 있어서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학계에 기여한바 또한 크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Korean art research, the history of research on silver‐inlaid incense bowls began with dissertations “The Incense Burners and Buddhist Bell in the Bongeun‐sa Temple(奉恩寺)” and “New Cases of Koryo Silver‐inlaid Incense Bowls” published in 1957 and 1960, respectively, and there were eight fragmentary studies reported in Archaeology and Arts(『考古美術』) from 1961 to 1968. However, it is said that serious research on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in the Koryo Dynasty was initiated by Dr. Hwang Soo‐yeong through his paper “A Study on Koryo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published in the 1st volume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佛敎學報』). Compared to previous fragmentary materials, the paper, which is the outcome of general research on pedestalled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in the Koryo Dynasty, comprehending all Koryo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inside and outside Korea, is considered highly meaningful in that it named Koryo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Hyangwan(香垸)’, clarified that the Geumsan‐sa Temple(金山寺) incense bowl and Sojae‐sa Temple(消災寺) incense bowl in the U.K. were pedestal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systematic research on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by explaining the technical aspects of silver inlay(銀入絲) through analyzing inscriptions and finding donors(功德主), monks(僧侶), and artisans(匠人) involved in the creation of incense bowls.
    Moreover, 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academic circle in that it opened a new horizon of research on Koryo pedestalled bronze silver‐inlaid incense bowl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cense offering tools in Buddhist crafts, clarified the position of incense bowls in various types of Buddhist tools, systemized the shape and type of incense bowls, and suggested methodologies for research on silver‐inlay techn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