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노수신의 진도(珍島) 유배와 주민과의 교우 -노수신의 『소재집(穌齋集)』을 중심으로- (Noh Soo-shin(盧守愼)’s exile and intercourse with residents in Jindo, Jeollanamdo, 16th Century -Centering on 『SoJae-Jip(穌齋集)』 of Noh Soo-shi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5
44P 미리보기
16세기 노수신의 진도(珍島) 유배와 주민과의 교우 -노수신의 『소재집(穌齋集)』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7권 / 1호 / 7 ~ 50페이지
    · 저자명 : 이도정

    초록

    이 연구는 진도에서 19년 동안 유배되어 다양한 기록을 남긴 노수신과 그의 저작인 『소재집』을 진도 기록물이라는 차원에서 주목하여, 16세기 중엽의 진도 지역사회를 살펴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진도에 새롭게 읍치를 창설한지 1세기가 지난 16세기 유배자 노수신의 눈을 통해 진도로 이주ㆍ복귀한 진도 주요 성씨의 정착과 교류 활동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부분에 주목한다. 첫째, 노수신이 유배기간 머문 장소를 그의 글을 통해 분석하여 기존에 제시되던 지산면 안치리가 아닌 읍성 서쪽 지역이었음에 주목한다. 둘째, 노수신이 배소와 인접한 진도의 주요 성씨와 교류하고 있었으며, 그들은 이 시기 이미 상호 통혼관계를 맺고 있었고 성황제를 통해 자신들의 위세를 과시하고 있었음을 보인다. 셋째, 당시 진도 지배층의 주요 교류 장소로 읍치 동부 지역을 주목한다. 이 지역은 향교를 중심으로 유배대와 당동암 같은 지역 지배층의 교류를 위한 시설이 위치한 곳이었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16세기 중엽 진도 읍치의 중심성을 포착하였다. 당시 노수신은 진도 읍치 인근에서 유배생활을 하였고, 읍성 밖 동서쪽에 포진해 있던 진도의 주요 성씨 인물들과 활발하게 교류했으며, 이 시기 진도 읍치의 동부 지역은 지역의 유력 성씨와 지역의 관리는 물론 문과 출신 유배자까지 함께 모여 교류하는 장소였음을 포착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id-16th century local community of Jindo through the perspective of Noh Soo-shin, who was exiled to Jindo for 19 years and left various records, including 『SoJae-Jip(穌齋集)』. The aim is to capture the settlement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major Jindo lineages who migrated to Jindo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ing cattle, through Noh Soo-shin’s poetry. To achieve this, the study focuses on three aspects. Firstly, by analyzing Noh Soo-shin’s writ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cation where he resided during his period of exile was in the western area of the fortress, rather than the previously suggested Anchi-ri in Jisan-myeon. Secondly, it reveals Noh Soo-shin’s interactions with the major lineages’ member in Jindo adjacent to Noh Soo-shin’s place, showing that they were already engaged in intermarriages and showcasing their influence through Seounghwang-je(城隍祭). Thirdly, it emphasizes the eastern area of the town as a major exchange hub for the rulling class in Jindo at the time, with facilities such as Hyanggyo(鄕校), Yubaedae(遊杯垈), Dangdongam(唐洞庵).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illuminated the pivotal role of Jindo’s urban center during the mid-16th century. During this era, Noh Soo-shin resided in the vicinity of Jindo’s central area, actively engaging with key figures of Jindo’s prominent lineages. Futhermore,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stern district of the town served as a nexus for interaction, where influential lineage members, local administrators, and even exiles of scholarly and bureaucratic backgrounds conve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