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열규의 수필론 연구 (A Study on the Essay Theory of Kim Yeolgy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8
27P 미리보기
김열규의 수필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8호 / 309 ~ 335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인

    초록

    국문학자․한국학자 김열규는 한국 수필의 한 맥을 잇는 수필가이기도 하다. 편협한 장르의식으로 소외당한 수필을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며 왕성한 작품 활동과 수필 이론을 개진하였다. 이 글에서는 김열규의 수필론을 수필의 글감, 수필 언어, 수필의 지향점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수필을 소재의 문학이라고 한다. 작가의 삶의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수필의 소재는 구체적 생활세계, 실존의 양태인 이 일상에 있다. 김열규는 수필의 소재가 지닌 일상성을 기꺼이 인정하되 그것을 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것은 수필가의 몫임을 상기시킨다. 수필의 소재는 사실 그대로의 날것이 아니라 그 너머의 가치와 의미를 캐물으며 작가의 해석과 의미부여라는 문학적 변용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소재를 심미적 관점에서 형상화하여 주제를 구현하는 데는 언어라는 통로를 거쳐야 한다. 수필 언어는 작가가 자신의 일상적 체험을 자기만의 언어로 재구성하며 삶과 세계를 의미화한 문학적 소산이다. 김열규가 추구하는 수필 언어는 피상적 생각 나열이나 상투적 일상어가 아닌 체험이 내재화되면서 자기 안에서 부화한 언어다. 오롯이 작가 자신의 감각에서 발현되는 ‘체험의 언어’를 말한다. 그러므로 김열규에게 수필 언어는 곧 체험이다.
    김열규가 제시한 수필의 글감과 언어에 대한 이론은 궁극적으로 자기고백의 글쓰기인 수필의 본령을 보다 진정성 있게 이행하는 데 요구되는 작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를 위해 자기응시와 자기탐색이라는 ‘수행(修行)’의 뜻을 수필隨筆의 ‘수隨’에 부친다. 결국 그의 수필의 지향점은 일상의 소재가 작가만의 체험의 언어로 부화되어 구심(求心)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다.
    김열규 수필론의 저변에는 ‘일상성’이 깔려있다. 일상의 문학, 생활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일상성은 마치 수필의 문학성을 방해하는 태생적 한계처럼 여겨져 왔다. 그는 수필문학의 딜레마를 부인하는 데서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그 난제를 끌어안고 극복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수필문학이 거듭나는 길임을 피력하고 있다. 바로 이 점이 김열규 수필론 의 의의라 해도 좋을 것이다.

    영어초록

    Yeolgyu Kim,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South Korean scholar, is also an acknowledged essayist who marked a new era in the fields of essays in South Korea. Back at the time, essays were isolated because of prejudiced awareness of genres but Kim included the essays in the realm of literature and engaged in active work activities and expressed the essay theories. This study explored Yeolgyu Kim's essay theory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topics like the subject matter of essay, the essay language, and the aim of the essay.
    Essays are known as the literature of subject matter. The subject matter that forms based on the personal life experiences of the writer are present in the detailed world of life and in daily life, which is an aspect of existence. Kim emphasiz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essay is actually not in the raw, as it involves interrogating further values and meaning and must go through literary acculturation like the writer's interpretation and ascription. With this, it is reminded that it is the essayist's share to recognize the dailiness carried by the subject matter of the essay while sublimating it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To embody the subject matter of the essay from an aesthetic viewpoint and implement a topic, it must pass through a passage, which is language. Essay language is a product of literature where the writer's daily experiences are restructured with personal language to signify the life and the world. The essay language pursued by Kim is a language that incubates within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s rather than the listing of superficial thoughts or conventional everyday language. It only stands for the 'language of experiences' that develops from the writer's personal senses. Therefore, essay language signifies experiences to Kim.
    Ultimately, the theory about subject matter and language in essay as proposed by Yeolgyu Kim can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work required to execute the proper functions of essay, a form of self-confessional writing, with greater authenticity. For this, Kim added the meaning of ‘performance (修行)’, which is to constantly practice self-contemplation and self-exploration, onto the Chinese character ‘隨’ of the term essays (隨筆). In the end, the aim of his essays is to incubate daily subject matter into the writer's experiential language and progress into the centripetal (求心) stage.
    Yeolgyu Kim's essay theory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dailiness. Under the literature of everyday life and life literature, dailiness was considered as an inherent limit that disturbs the literary values of essays. Kim sets forth that the answer shouldn't be searched from refusing the dilemma of essay literature as the process of embracing the dilemma and overcoming it is the way to reform essay literature. This is considered as the special value in the essay theory by Yeolgyu K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