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수묘제守墓制 연구의 현황과 쟁점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the Study of the Tomb Guard System of Koguryo)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5.04
36P 미리보기
고구려 수묘제守墓制 연구의 현황과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6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김현숙

    초록

    고구려 수묘제 연구에서 쟁점이 된 것 중 수묘인의 신분에 대해서는 노예설, 양인설, 특수직역인설이 있다. 국연國烟과 간연看烟에 대해서는 국연이 책임자였고 간연이 청소 등 노역을 했다고 보는 설이 다수이나, 둘의 출신지와 생업이 달랐다고 본 설, 경제적인 이유로 국연은 1인, 간연은 10인이 한 몫의 역役을 했다고 본 설, 국연은 국강상國罡上에 와서 수묘역을 수행했고 간연은 다른 지역에서 경비를 조달하거나 순서를 기다린 예비수묘인이라고 본 설, 국연은 광개토왕릉, 간연은 다른 왕릉들에 배치되었다고 본 설 등으로 나눠져 있다. 연호두烟戶頭에 대해서는 수묘연호 20가의 호주로 보는 견해와 국연의 호주라고 본 설, 기층 관리자라고 본 설이 있다. 수묘인의 노역조 구성에 대해서는 11가 1조설(국연1가+간연10가)과 33가 1조설(구민舊民 국연1가+간연10가+신래한예新來韓濊 국연2가+간연20가)이 있다. 광개토왕비의 수묘인 330가에 대해서는 모두 광개토왕릉을 관리했다고 본 설, 국내성 소재 왕릉 전체를 수묘했다고 본 설, 광개토왕릉을 포함한 3기의 왕릉만 수묘했다고 본 설, 국연 30가만 광개토왕릉을 관리했다고 본 설 등이 있다. 이외 수묘연호 차착差錯의 내용, 매매의 대상, 수묘제 정비시기와 내용 등을 두고도 논의가 이루어졌다.
    집안고구려비集安高句麗碑의 발견으로 논란이 되어오던 이런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 기대했으나 오히려 논의가 더 복잡하게 되었다. 광개토왕대에 수묘연호의 차착을 막기 위해 실제로 선대왕들 무덤에 석비를 세웠다는 것만 확인되었을 뿐, 그 외의 사안에 대해서는 설명해주는 자료가 나오지 않았고, 연호두라는 새로운 존재가 등장했고,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의 건립시기를 둘러싼 논쟁도 더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고구려 수묘제 연구는 향후 더 활발히 전개되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영어초록

    Many different kinds of opinions have been produced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tomb guard system of Koguryo. First, the status of the tomb guardians has been debated whether they were a slave, a commoner, or a special statute labor which was not a slave but a lower status than a commoner. About kukyon 國烟 and kanyon 看烟, most scholars considered that kukyon were in charge and kanyon carried hard labor. Other different opinions existed about the detailed roles of kukyon and kanyon. More specifically, scholars argued that kukyon and kanyon could have come from different places and had different occupations. For an economical reason, kokyon could have been charged for the statute labor of only one person, kanyon for 10 persons. Other suggestions were that kukyon carried a tomb guardian role at kukgangsang, while kanyon was the reserve tomb guardians to support an expense from other regions or to wait their sequence and that kukyon was arranged at the Tomb of King Kwanggaeto and kanyon was placed in other royal tombs, etc.
    About yonhodu 烟戶頭 (head of the household), there are several different suggestions that it could have been hoju 戶主 (head of the household), chang 長(a magistrate), or a representative of 20 household of tomb guards. Other arguments were to see it as the head of kukyon household or the administrator. The opinions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labor group of the tomb guard household are also varied. One group could have consisted of 11 households (1 kukyon and 10 kanyon) or 33 households(1 existing guardian households(gumin) kukyon + 10 kanyon + 2 newly coming hanye kukyon + 20 kanyon). As of the tomb guardians of the Stele of King Kwanggaeto, it is possible that all 330 households took care of the tomb, or guarded the whole royal tombs in Ji’an. Others suggested that they took care of only three royal tombs including the Tomb of King KWanggaeto, or only 30 kukyon household took in charge of the Tomb of King Kwanggaeto, etc. Besides, there have been debates on the meaning of chachak 差錯(the confusion and disorder of tomb guard household), the subject of the trade, and the time and the method of the modification of the tomb guard system.
    By the discovery of the Koguryo Stele in Ji’an, it had been expected that many questions would have been solved, but unfortunately, it actually resulted in deepening more perplexed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gaeto, they constructed a stone stele on the tombs of the previous kings to prevent the disorder of the tomb guard household. However, other questions still remain unsolved and new issues about yonhodu emerged. The debate on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Koguryo Stele in Ji’an and the Stele of King Kwanggaeto was intensified. Therefore, the tomb guard system of Koguryo will henceforth remain as more vigorous debate subject m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