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全羅左水營의 水塲과 鯈魚의 意味 (Ju-eo(鯈魚) at Sujang(水場) in Jeollajoasuyeong(全羅左水營))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5
41P 미리보기
全羅左水營의 水塲과 鯈魚의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3권 / 1호 / 191 ~ 231페이지
    · 저자명 : 정현창, 조미선

    초록

    임진년 2월 1일 전라좌수영에서 ‘出船滄點擇可用板子時水塲內鯈魚雲集’ 사실이 있다. 여기서 ‘水塲內鯈魚’라는 부분의 해석에 대해서는 그 표현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본 논문 에서는 전라좌수영의 수장과 주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그 정확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船滄은 수군진의 전선정박처인 船所였다. 水場을 ‘망천’, ‘물목’, ‘방천’, ‘방조제’, ‘물을 막아둔 둑’, ‘웅덩이’, ‘둑’, ‘연등천 입구’ 등으로 해석하고 있으나, 수장이란 전선을 정박시 키거나 숨기는 掘港이었다. 鯈魚는 피라미, 살치, 몽어, 숭어 등으로 해석하였으나 鯈魚는 피라미, 뱅어, 숭어를 각 각 지칭하는 동명이칭명사이다. 鯈魚는 주로 피라미를 지칭하지만 ‘숭어’를 지칭한 말이기도 하다. 계절적으로나 전라좌수영 지형 상 남문 밖 수장(굴항) 안에 몰려든 물고기 鯈魚는 피 라미가 아니라 주어 즉 숭어였다. 따라서 이순신이 임진년 2월 1일에 전라좌수영 ‘선소에 나아가 판자로 쓸 만한 나무를 고르는데, 때마침 수장 (굴항) 안에 구름처럼 몰려들어 온 숭어’ 2천여 마리를 그물을 쳐서 잡은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다양한 해석을 야기한 원인은 선창, 수장, 주어 등의 핵심 용어에 대한 전라좌수영과 관 련된 시공간적인 깊은 이해가 미흡하여 파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흔히 족보도 없는 굴강이라는 용어 대신 굴항이나 수장이란 우리 용어로 사용되었 으면 한다.

    영어초록

    On February 1st in the year of Imjin, there was a fact of ‘出船滄點擇可用板 子時水塲內鯈魚雲集’ in Jeolla Jwasuyeong(全羅左水營, West Province Naval Base). In this phrase,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水塲內鯈魚’ can be very variou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xact meaning of the terms Sujang(水場) and Jueo(鯈魚) of Jelloa Jwasuyeong were thoroughly examined.
    Seonchang(船滄) was an anchorage for battleships of a naval base include landing harbor, not a shipbuilding site. Even though Sujang(水場) has been interpreted as ‘Mangcheon(stream dike)’, ‘Mulmok(the ferry narrows)’, ‘Bangcheon(stream dike)’, ‘seawall’, ‘water-tight dam’, ‘puddle’, ‘bank’, ‘entrance of Yeondeungcheon(蓮嶝川) Stream’ and so on, it actually was a berthage or a safe harbor(a small landing dock, 掘港) to anchor or hide battleships.
    Joeo(鯈魚) has been interpreted as a minnow, a small mullet, a whitbait or mullet, but Joeo(鯈魚) is a noun of the same name that refers to a minnow, Japanese icefish, and mullet respectively. That is, Jueo(鯈魚) mainly refers to minnow, but also refers to ‘mullet’. It occurred incorrect translation because they are misunderstanding about Complete historic and Jeolla-Jwasuyeong topographically, the fish Jueo(鯈魚) that flocked into the Sujang(水場, a safe harbor, 掘港) outside the south gate was not a minnow(or a small mulle), but a mullet.
    Therefore, on February 1st of the Imjin year(壬辰年), the fact remains that Yi Sunshin(李舜臣) caught thousands of mullets in a net which rushed into the Sujang(水場, safe harbor) when he went to Seonchang(船滄) and picked out blocks of wood that could be used as boards for ship building.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several interpretations of the key terms such as Seonchang(船滄, quay, naval base), Sujang(水場), and Jueo(鯈魚) were derived from the lack of temporal and spatial understanding of Jeolla Jwasuyeong. In addit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terminology such as Gulhang(掘港, safe harbor) or Sujang(水場) should be used instead of the unsubstantiated term Gulgang(掘江).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