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장품 로드 숍 파사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요소와 브랜드 인지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명동 지역 화장품 로드 숍의 파사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rand Identity Expressional Elements and Brand Awareness in Cosmetic Road Shop’s Facade - Focusing on Designs of Facades of Cosmetic Road Shops in Myeongdong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4
11P 미리보기
화장품 로드 숍 파사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요소와 브랜드 인지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명동 지역 화장품 로드 숍의 파사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3권 / 2호 / 40 ~ 50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형, 박찬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로드 숍의 파사드에서 나타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요소를 도출하고 이러한 표현요소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주관성 측정평가 방법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화장품 브랜드 로드 숍의 파사드에서 나타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요소는 크게 2차원적 표현요소와 3차원적 표현요소로 그 유형을 분류되어지며 2차원적 표현요소의 세부 분류 요소로는 심볼, 로고타입, 사인(간판), 이미지 표현물(제품, 모델), 브랜드 컬러가 있었으며, 3차적 표현요소의 세부 분류 요소로는 건축물(형태, 재료, 패턴), 장식(차양, 캐노피, 조형물, 조명, 스크린), 쇼윈도(상품중심, 비주얼중심, 내부)가 도출되어졌다.
    (2) Q방법론에 의한 측정, 분석의 결과 3가지의 브랜드 인지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인지유형별 분석에 의해 특성으로는 ①연관되어진 복수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요소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브랜드 인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②남성 소비자의 경우 건축물-형태와 같은 건축물이 갖는 조형적 표현요소를 통하여 브랜드를 인지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며, ③여성 소비자의 경우는 브랜드 컬러와 같은 시각적인 표현요소를 통하여 브랜드를 인지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종합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요소 중 브랜드 인지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표현요소는 ①브랜드 컬러, ②건축물-형태, ③차양, ④쇼윈도, ⑤로고의 순으로 나타나 화장품 로드 숍의 파사드 디자인에 있어서 2차원적(시각적) 표현요소인 브랜드 컬러와 3차원적 표현요소인 건축물의 형태적 요소가 브랜드마케팅의 자산이라 할 수 있는 브랜드 인지도 구축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표현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brand identity expressional elements in cosmetic road shops’ facades would affect the brand awareness of consumers while extracting those brand identity expressional elements observed in the facades of the cosmetic road shop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used Q methodology, a method to measure subjectivity. The results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lements to express the brand identity found in the facades of the cosmetic road shops were observed to be two-dimensional expressional elements, and they should include a symbol, a logo, a signboard, materials to express an image (products, models) and a brand color. As for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al elements, they were a building (form, materials, pattern), decorations (lean-to roof, canopy, sculptures, lighting, screen) and a display window (focusing on products, visuality or the inside of a shop). (2)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on the brand awareness using Q methodology have been presented as follows. ① When multiple identity expressional elements which would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re used, the brand awareness gets increased relatively efficiently. ② In case of men, they would perceive a brand more easily through those formative expressional elements such as a form of a building. ③ In case of women, they would perceive a brand more conveniently through those visual expressional elements such as a brand color. (3) In conclusion, the study figured out that, among the brand identity expressional elements, the one which would influence the brand awareness most would be ① the brand color, followed by ② the building-form, ③ the lean-to roof, ④ the display window and ⑤ the logo. Based upon what has been learned so far, the study confirmed that when it comes to securing the brand awareness in the market, cosmetic companies should, first, realize how important it is to make good use of the two-dimensional (visual) expressional element, the brand color, and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al element, the form of the building, together before they even try to design facades of their shops on the stre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