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푸드 편집숍 컨셉의 셀렉다이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 Dining Characteristic of Food Curation Shop Concept)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0
8P 미리보기
푸드 편집숍 컨셉의 셀렉다이닝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7권 / 5호 / 84 ~ 91페이지
    · 저자명 : 이소미

    초록

    배경:셀렉다이닝은 최근 글로벌 외식 서비스 시장의 대안으로 등장한 새로운 레스토랑 컨셉으로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신속한 유입과 글로벌 외식업체의 진입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레스토랑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등장하였다. 새로운 컨셉 레스토랑으로서 신문과 잡지를 통해 셀렉다이닝이 소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관련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셀렉다이닝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매체 및 문헌연구를 통해 푸드 편집숍과 셀렉다이닝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정리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조사를 통해 셀렉다이닝의 특성과 유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으로 셀렉다이닝의 개념이 처음 등장한 2014년 이후 서울에서 오픈, 운영 중인 동시에 각종 매체를 통해 중복 소개된 사례 9개를 선정하였다. 이후 각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전체 컨셉, 상품(메뉴구성 및 입점브랜드), 공간 (평면계획 및 분위기), 서비스 운영 방식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셀렉다이닝은 모두 도심 오피스 상권에 소재하며, 20-30대 젊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셀렉다이닝의 유형은 입점 매장 구성, 주문 및 결제시스템, 공간 구성, 서비스 운영방식의 특성에 따라 단일형, 분리형, 조합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셀렉다이닝의 공간계획은 접근 공간, 식사 공간, 주문 및 결제 공간, 조리 공간 등 고객의 여정에 따라 이루어지며, 젊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공간디자인은 모던하고 빈티지하며, 고급스럽고 세련된 분위기로 연출되고 있었다. 서비스 및 운영방식은 유형에 따라 셀프서비스와 테이블 서비스 중 유형에 따라 선택하고 있었다.
    추후 단순히 푸드코트의 진화된 형태가 아닌 차별화된 컨셉과 테마에 맞는 메뉴상품과 디자인으로 기획되어 다양한 대상의 방문을 유도하는 복합외식문화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또한 집객에 유리하여 오피스 빌딩의 공실을 해결하며 건물의 가치를 높여주는 동시에, 주말 유동인구가 적은 오피스가의 상권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복합쇼핑몰 상권에서 나타나듯 건물 내부로의 몰링만이 아닌 주변 지역과의 상생을 고려한 연계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Select dining of a new restaurant concept that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the global food service market, emerged at the time when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of restaurants is required for consumers due to the rapid inflow of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 and the entry of global food service enterprises into the market.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ed and summarized the concept of food curation shop and select dining through media and the literature research, and based on i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elect dining through an actual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ll select dinings in the survey were located in the downtown office market and were targeted at young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The types of select dinings were divided into a single type, a separate type, and a combination typ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establishment, order and payment system, space configuration, and service operation mode. As the space plan of select dining was based on the customer's journey including access space, dining space, order and payment space, and cooking space, etc., and was targeted at young employees, the space design was modern and vintage and was produced in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atmosphere. Service and operation typ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lf service and table service.
    In the future, it should be planned not with the evolved form of food court, but with menu items and designs for the differentiated concept and theme. Also, it should be reborn as a complex food service culture space to attract visitors to a variety of destinations. Also, it is advantageous to attract customers, so it solves vacancies of office buildings and raises the value of buildings, and at the same time, it helps to activate the commercial street of office street where the floating population of the weekend is small, but as shown in the complex commercial shopping mall are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nkage strategy not only for malling inside the building, but also for coexistence with neighboring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