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의 ‘수개의 범죄사실’의 해석과 범죄사실과 적용법조의 예비적 또는 택일적 기재에 관한 체계적 이해 (Interpretation of several criminal facts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preliminary or alternative description of criminal facts and applicable law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5.02
44P 미리보기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의 ‘수개의 범죄사실’의 해석과 범죄사실과 적용법조의 예비적 또는 택일적 기재에 관한 체계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78권 / 223 ~ 266페이지
    · 저자명 : 박달현

    초록

    공소사실의 예비적·택일적 기재는, 공소제기시 검사가 공소사실에 대한 심증형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법률적 구성을 확정할 수 없거나 그것에 어려움이 있다던가 아니면 이로 인해 무죄가 선고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공소장의 기재방법에 융통성을 갖도록 할 필요성 때문에 그 유용성이 인정된다. 그런데 예비적·택일적 기재를 규정하고 있는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은 단지 “수개의 범죄사실과 적용법조를 예비적 또는 택일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 이를 공소사실의 동일성의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든가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벗어나서도 가능하다든가 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에서 예비적·택일적 기재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의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는 입장과 공소사실의 동일성내에서는 물론이고 벗어나서도 가능하다는 입장의 다툼이 있다. 물론 전자가 현재 다수설이고, 후자는 판례와 소수설의 입장이다.
    판례와 소수설은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은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대해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요건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예비적·택일적 기재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의 범위내로 제한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물론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의 내용만 보면 판례와 소수설의 입장이 타당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판례와 소수설의 입장은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요건으로 한 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의 공소장변경과 모순된다. 공소장변경은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필요로 하는데 반해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의 예비적·택일적 기재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요건으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과 제298조 제1항을 ‘형식적으로’ 해석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는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 여부는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과 제298조 제1항을 ‘형식적으로’ 해석해서는 어느 것이 맞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보면 이것은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요구하는지 여부는 형사소송법의 목적과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과 제298조에 대한 체계적 해석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과 제298조 제1항에서 제298조 제1항을 제254조 제5항에 맞추거나 그 반대로 제254조 제5항을 제298조 제1항에 맞추는 것이 해결방안이다. 이 가운데 어느 것을 택하는지 여부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형사소송법의 목적이나 체계 그리고 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과 제254조 제5항의 이념에 맞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의 공소장변경은 공소제기시에 제대로 된 공소제기였다고 생각했지만 공판 중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 경우에 이를 변경하여 무죄선고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고 또한 필요하다.
    하지만 이것을 폭넓게 인정하게 되면 피고인의 입장에서 방어활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그래서 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은 공소장변경의 남용을 제한하기 위해,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공소장변경의 요건으로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공소장변경에서 공소사실의 동일성은 어떤 경우에도 포기될 수 없다. 이것에 의할 때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이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대해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요건으로써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았더라도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공소사실의 동일성’이 요구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다. 만일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 경합범관계에 있는 수개의 범죄사실이 경합범으로 처벌되지 않고 예비적으로나 택일적으로 기재된 범죄 가운데 어느 하나로만 처벌하게 되어 형법상 경합범 규정이 형해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수개의 범죄사실은 본질적으로 경합범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의 ‘수개의 범죄사실’은 체계적으로 동일성이 인정되는 수개의 범죄사실로 해석될 뿐만 아니라 예비적 기재에서 ‘예비’는 범죄사실의 동일성이 전제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것들을 고려할 때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의 ‘수개의 범죄사실’은 입법의 착오로서 ‘동일성이 인정되는 수개의 범죄사실로서 택일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이다.

    영어초록

    The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 of facts in a complaint is useful because it is necessary to have flexibility in the description method of the indictment in order to prevent a not-guilty verdict due to the prosecutor’s insufficient formation of evidence on the facts in a complaint,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legal structure, or other reasons. However, Article 254, Paragraph 5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CPA), which stipulates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 only stipulates that “several criminal facts and applicable laws may be described preliminarily or alternatively,” and does not contain any content indicating that this is permitted within the scope of the identity of facts in a complaint or is possible outside the identity of facts in a complaint. For this reaso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position that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 is possible only within the scope of the identity of facts in a complaint and the position that it is possible not only within the identity of facts in a complaint but also outside the identity of facts in a complaint. Of course, the former is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latter is the case law opinion and the minority opinion.
    The case law opinion and minority argue that due to Article 254, Paragraph 5 of CPA not requiring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for the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s,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s to the scope of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Of course, if we only look at the content of Article 254, Paragraph 5 of CPA, the case law opinion and minority seem reasonable. However, the case law opinion and minority contradict the amendment of the indictment under Article 298, Paragraph 1 of CPA, which requires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This is because the amendment of the indictment requires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whereas the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 under Article 254, Paragraph 5 of CAP does not require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This is also the result of a ‘formal’ interpretation of Article 254, Paragraph 5 and Article 298, Paragraph 1 of CPA. This means that whether or not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is required for the preliminary or alternative description cannot be determined by a ‘formal’ interpretation of Article 254 Paragraph 5 and Article 298 Paragraph 1 of CPA. Looking at it another way, this also means that whether or not the identity of the facts in the indictment is required for the preliminary or alternative description can only be determined through a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purpose of CPA and Article 254 Paragraph 5 and Article 298 Paragraph 1 of CPA. Basically, the solution is to align Article 298 Paragraph 1 with Article 254 Paragraph 5, or conversely, to align Article 254 Paragraph 5 with Article 298 Paragraph 1. Which of these is chosen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should be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system of CPA and the ideology of Article 298, Paragraph 1 and Article 254, Paragraph 5 of CPA. The amendment of the indictment under Article 298, Paragraph 1 of CPA is very useful and necessary in that it prevents a not guilty verdict by amending the indictment when it is discovered during the trial that it was incorrect even though it was thought to be a proper indictment at the time of filing.
    However, if this is broadly acknowledged, it will cause many difficulties in the defendant’s defense activities. Therefore, Article 298, Paragraph 1 of CPA explicitly states the ‘identity of facts in the indictment’ as a requirement for the amendment of the indictment in order to limit the abuse of the amendment of the indictment. For this reason, the identity of facts in the indictment cannot be abandoned in any case when amending the indictment. Accordingly, even if Article 254, Paragraph 5 of CPA does not specifically state the ‘identity of facts in the indictment’ as a requirement for the provisional and alternative description, it is logical and systematic to interpret that the ‘identity of facts in the indictment’ is required for the preliminary and alternative description. And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identity of facts in the indictment is not required for the provisional and alternative descrip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ositive theory, several criminal facts in a concurrent crime relationship are not punished as concurrent crimes, but only one of the crimes described in the preliminary or alternative description is punished, which causes the problem of the provision of concurrent crimes in the criminal law becoming a formality. Considering these things, it is reasonable and systematic to view the ‘several criminal facts’ in Article 254, Paragraph 5 of CPA as a legislative error.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