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해사소송에 있어서의 대한민국법상의 소멸시효와 소송중지명령 ― 선박 MSC Carla 침몰 사건에 관한 미국판결을 중심으로 ― (Korean Statute of Limitation and Anti-suit Injunction in the U.S. Maritime Litig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11
32P 미리보기
미국해사소송에 있어서의 대한민국법상의 소멸시효와 소송중지명령 ― 선박 MSC Carla 침몰 사건에 관한 미국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법학회지 / 31권 / 2호 / 57 ~ 88페이지
    · 저자명 : 정해덕

    초록

    파나마 선적 선박 MSC Carla는 1972년 스웨덴에서 건조된 컨테이너선으로 1984년경 선박 중간부분에 15미터 정도의 중간선체(mid-body)를 용접(welding)하여 잇는 선박연장개조작업을 대한민국 법인인 H조선이 수행한 바 있는데, 1997. 11월 컨테이너 화물을 가득 싣고 대서양을 항해중 두 조각으로 깨져 침몰하여 위 선박에 선적되어 있던 컨테이너 화물들이 모두 멸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선박 MSC Carla의 선주는 1997년 뉴욕남부지방법원에 선주책임제한절차를 신청하였으며, 위 선박에 선적되어 있던 화물들에 대한 1,000여개 각국 화주들(Cummins Engine Co., Inc., et al.)은 오래 전에 위 선박에 대한 연장개조작업을 수행한 H조선을 상대로 불법행위 및 제조물책임 등을 근거로 미국 뉴욕남부지방법원에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제3자소송(third-party complaints)을 제기하였다, 한편, H조선은 위 소송개시 이전에 화주들을 상대로 대한민국 울산법원에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하였다.
    뉴욕남부지방법원은 울산법원 소송에 대하여 소송중지명령을 내리고 2004. 7. 9.에는 H조선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는 중간판결을 하였으나, 미국 항소법원은 2005. 10. 17. H조선에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는 취지로 뉴욕남부지방법원 판결을 파기하였고 위 판결은 확정되었다. 이 사건에서 미국 항소법원은 대한민국법이 준거법이라고 판시하고 대한민국법상의 10년 소멸시효가 실체법적인 문제로서 이 사건에 적용된다는 전제 아래 이 사건 손해배상 청구권이 10년 시효기간 경과로 소멸하였다고 판시하였다. 위 판결은 각주에서 대한민국법에 의하면 불법행위 청구권은 불법행위시부터 10년이 경과하면 소멸하고(민법 766조), 제조물책임에 기한 청구권도 공급시점으로부터 10년 이내에 행사되어야 한다고(제조물책임법 제7조) 설시하였다.
    위 MSC Carla 사건은 세계 각국의 화주, 선주, 조선회사 등이 관련되어 미국 해사소송의 국제적 재판관할, 준거법, 외국소멸시효, 소송중지명령, 국제소송의 경합 등 국제사법적 문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해사소송에 있어서 외국소멸시효는 그 외국법의 입장 여하에 따라 실체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 그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미국법원의 소송중지명령도 비록 소송당사자에 대한 명령이기는 하지만 외국에 계류중인 소송의 취하까지도 명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나 상당한 주의와 제한하에서만 행사되어야 한다고 해석된다. 국제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오늘날 향후 이러한 문제도 관할, 준거법 등과 관련한 국제소송의 국제사법적 문제의 하나로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November, 1997, M/V MSC Carla, a container ship with Panamanian flag, which was built in 1972 in Sweden, was split into two pieces and sunk in Atlantic Ocean and all containers on board were losed. In 1984, a Korean shipbuilding company did the welding and lengthening operation to this ship by inserting a mid-body into the middle part of the ship.
    In 1998, the cargo owners filed a third party complaint for compensation for their losses against the Korean shipbuilding company on the basis of tort and product liability, etc before the U.S. New York Southern District Court and the Korean company also filed the lawsuit for declaration of non-existence of the liability against the cargo owners before the Korean Ulsan District Court.
    In 2004, the New York Southern District Court rendered an anti-suit injunction against the Korean company and then rendered a decision to acknowledge the Korean company’s liability. However, the appellate court, the Second Circuit Court reversed the original decisions. The Second Circuit Court accepted Korean laws as governing law and ruled that the cargo owners’ claim had been time-barred by elapse of 10 year period of Korean statute of limitation.
    It could be worthwhile for us to review various issues on choice of law and international litigation in this U.S. maritime litigation, such as international jurisdiction, governing law, foreign statute of limitation, and anti-suit injunction, etc, because various foreign companies have been involved in this case and there have been a lot of different foreign factors.
    In the U.S. maritime litigation, foreign statute of limitation can be viewed as a substantial matter and be applied. It is also construed that anti-suit injunction can be issued only with care and great restraint.
    To prepare for future international dispute, these issues will also need to be discussed and studied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