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잊혀진’ 인물의 재구, 『松溪實紀』 편찬의 정치사회학적 고찰 (A Study on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Reclaimed Compilation of a Forgotten Character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12
50P 미리보기
‘잊혀진’ 인물의 재구, 『松溪實紀』 편찬의 정치사회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6권 / 151 ~ 200페이지
    · 저자명 : 정출헌

    초록

    본고는 松溪 申季誠(1499~1562)이라는 한 處士의 삶을 재구하고 있는 『松溪實紀』가 편찬․간행되기까지의 과정을 정치사회학적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지금 우리들은 신계성이란 이름을 거의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南冥 曺植의 절친한 동지이자 佔畢齋 金宗直을 사숙한 후학으로서 김해의 新山書院과 밀양의 禮林書院에 배향될 정도로 명망이 높았다. 뿐만 아니다. 松堂 朴英의 학맥을 계승하고 있어 16세기 전반 道學史의 다채로운 분화와 계승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도 관건이 되는 인물이다.
    하지만 기묘사화와 을사사화로 이어진 중종-명종대의 혼란한 정치현실과 결별한 채 평생 포의로 생을 마감했기에 두드러진 행적을 남기지 못했다. 게다가 그리 많지 않던 遺稿마저도 임진왜란을 겪는 과정에서 전부 소실되고 말았다. 그로 인해 그는 사후에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채 점차 잊혀져갔고, 그 사실을 안타깝게 여기던 제자와 후손은 그의 존재를 되살리기 위해 250년 동안 실기 편찬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19세기 초반 세상에 빛을 보게 된 결과물이 바로 『송계실기』이다.
    거기에는 오랜 세월 동안 전개된 추숭작업의 성공과 좌절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선조대의 사림정권 성립, 광해군대의 북인정권 부상, 인조반정을 통한 집권세력의 교체, 그로 말미암은 영남 사족집단의 분화, 등등. 『송계실기』의 편찬은 조선후기의 복잡다단했던 정치사회학적 맥락과 민감하게 연동되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선조대의 李浚慶, 광해군대의 鄭仁弘, 인조대의 張顯光, 순조대의 宋煥箕와 鄭宗魯와 같은 당대 거물들도 그 실기의 편찬 작업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일견 하찮아 보이는 『송계실기』라는 작은 책자는 16세기 중반 이후에 전개된 중앙정치와 지역사족의 연계 지점을 예민하게 관찰할 수 있는 프리즘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life of an obscured scholar in Miryang, called Songgye Shin Gye-seong (松溪 申季誠 1499~1562), in a political and sociological context. Now we hardly remember this figure by name. However, he, a close comrade of Jo Sik(曺植)’s and a sincere follower of Kim Jong-jik(金宗直), was well-known enough to be enshrined in Sinsan Seowon(新山書院) in Gimhae and Yerim Seowon(禮林書院) in Miryang. Besides.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Park Yeong(朴英), who was a key figure in explaining the diverse aspects of the history of ethics(道學史)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However, Songgye(松溪) did not leave any notable mark because he lived a life of loyalty for his entire life after breaking up with the chaotic political reality during the reigns of Jungjong and Myeongjong. In addi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even his few posthumous works were completely destroyed As a result, Songgye(松溪) was gradually forgotten after his death, so his disciples and descendants felt sorry for it, and for 250 years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compilation of Songyesilgi(『松溪實紀』), to revive his real existence.
    After such efforts, Songgyesilgi(『松溪實紀』) saw the light in the world. It contains the traces of success and frustration of the long-running process of revering and raising up his real existence. And they had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context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great figures of the time, such as Yi Jun-gyeong under Seonjo’s reign, Jeong In-hong under Gwanghaegun’s reign, Jang Hyeon-gwang under Injo’s reign and Jeong Jong-ro under Sunjo’s reign, were deeply involved in the compilation of Songgye’s works. In this regard, one of the seemingly insignificant literature, Songgye Silgi(『松溪實紀』), was also a sensitive prism that gauged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context that developed after the M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