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형사소송법의 최근 경향- 협상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Current developments in the German Criminal Procedure- Negotiated Criminal Agreement in § 257c German Code of Criminal Procedure (StPO)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12
23P 미리보기
독일 형사소송법의 최근 경향- 협상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6권 / 2호 / 109 ~ 131페이지
    · 저자명 : 손미숙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에 큰 영향을 준 독일 형사소송법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30년간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독일 형사소송에서가장 논란이 많은 제도 중의 하나인 협상소송을 분석, 소개하고 있다. 협상은 공판절차에서 피고인이 자백을 하면 이를 토대로 예상되는 형을 판사,검사, 변호인이 서로 합의하여 복잡한 증거조사 과정 등을 모두 생략하고재판을 신속하고 부담 없이 간결하게 끝내는 소송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협상은 법적인 근거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 형사소송 실무에서는 오랫동안 관행으로 행해져 왔으며, 지난 수 십 년간 암암리에 행해지던 비공식적인협상은 — 많은 논란 가운데 — 2009년 ‚형사소송에서 협상규정에 관한 법률’을 통해 마침내 법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법률을 통해 도입된 핵심내용은 독일 형사소송법 제257c조(법원과 소송관계자들과의 협상)이다.
    이러한 협상소송은 1879년 독일 형사소송법이 시행된 이후 지난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독일 형사소송문화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다 준 것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비교법적으로 보면 협상은 독일 형사소송법 특유의현상이 아니고, 세계적인 경향이기도 하며, 소송의 간편화와 신속한 처리를위해 독일 법체계와는 본질적으로 맞지 않는 — 협상의 모국인 미국의 — 유죄협상제도에서 파생하여 직권주의에 각인된 소송권리들을 첨가하는 것으로서, 독일에서 형사소송법 제257c조의 제정 작업이 이루어지던 당시 공청회에서도 소수만 협상을 반대했고, 유럽의회는 오히려 이를 권장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시대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에서 이 글은 먼저 독일 협상소송의 특성을 일반소송과 비교하여 고찰하고, 그 다음 독일에서 협상소송이 생기게된 원인을 분석하며, 또 2013년에 있었던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협상에 관한 판결을 살펴보고, 끝으로 협상이 법적인 형사소송의 이념과 조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고찰과 이러한 협상소송이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의 발전방향에 주는 교훈을 성찰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ses the negotiation of criminal judgment between thecourt and the parties (in German Verständigung, literally meansunderstanding, and German version of plea bargaining) in the GermanCriminal Procedure. The negotiation of criminal judgment is - in spite ofthe legal recognition in 2009 - one of the controversial legal figure inthe German Criminal Procedure. § 257c (Negotiated Agreement) GermanCode of Criminal Procedure reads as follows: (1) In suitable cases thecourt ma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subsections, reach anagreement with the participants on the further course and outcome ofthe proceedings. § 244 II shall remain unaffected. (2) The subject matterof this agreement may only comprise the legal consequences that couldbe the content of the judgment and of the associated rulings, otherprocedural measures relating to the course of the under lying adjudication proceedings, and the conduct of the participants during thetrial. A confession shall be an integral part of any negotiated agreement.
    The verdict of guilt, as well as measures of reform and prevention, maynot be the subject of a negotiated agreement. (3) The court shallannounce what content the negotiated agreement could have. It may, onfree evaluation of all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as well as generalsentencing considerations, also indicate an upper and lower sentencelimit. The participants shall be given the opportunity to make submissions. The negotiated agreement shall come into existence if the defendant and the public prosecution office agree to the court’s proposal. (4) The court shall cease to be bound by a negotiated agreement if legal or factually significant circumstances have been overlooked or have arisen and the court therefore becomes convinced that the prospective sentencing range is no longer appropriate to the gravity of the offence or the degree of guilt. The same shall apply if the further conduct of the defendant at the trial does not correspond to that upon which the court’s prediction was based. The defendant’s confession may not be used in such cases. The court shall notify any deviation without delay. (5) The defendant shall be instructed as to the prerequisites for and consequences of a deviation by the court from the prospective outcome pursuant to § IV.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