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金時習을 바라보는 두 시선 (Two Views on Kim Si-seup(金時習) in the 17th Century –Focusing on the Heo-Mok(許穆) and Song Si-yeol(宋時烈))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6
40P 미리보기
17세기 金時習을 바라보는 두 시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7호 / 65 ~ 104페이지
    · 저자명 : 강창규

    초록

    본고는 17세기 眉叟 許穆(1595~1682)과 尤庵 宋時烈(1607~1689)이 어떻게 金時習을 재해석하고자 하였고, 그것이 어떤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가장 주요한 작품은 허목의 「淸士列傳」과 송시열의 「鴻山縣東峯祠記」이다. 이를 살펴보기에 앞서, 허목과 송시열이 주목했던 주요 인물형에 대하여 다루고, 그런 작업을 토대로 각자가 어떻게 김시습을 바라보는지 살펴보았다. 김시습에 대한 두 시선은 앞 시대의 맥락들이 수렴되어 17세기의 두 영수에 의해 집약된 것이다. 허목은 근기 남인이라 불리면서도 북인 학맥과도 밀접하기에 그런 학파적 경향을 이어받으면서 김시습에 대해 서술하고 있고, 송시열은 서인의 입장에서 栗谷 李珥의 「김시습전」을 토대로 논의를 계승․발전시키고 있다.
    허목은 李耔의 行儒迹佛을 인용하면서 북인계 奇自獻․柳夢寅이 가졌던 김시습 像을 잇고 있다. 그것은 김시습이 가진 울분에 공감하면서 遠遊에 주목하고 불교적․도가적 모습도 숨기지 않고 서술하는 방식이다. 송시열은 李珥의 心儒迹佛을 토대로 진행하면서 절의를 강조하고 불교적 모습을 대변하기 위해 泰伯을 끌어와 김시습의 절의를 설명한다. 일찍이 맹자는 伯夷를 聖之淸者라고 표현했는데, 두 사람은 이런 백이에게서 볼 수 있는 ‘淸’과 ‘節’의 모습을 김시습에게도 적용하였다. 그럼에도 그들의 강조점은 달랐다. 허목은 세상의 변고를 만났을 때 신하가 취할 수 있는 ‘淸’을 강조하고, 송시열은 신하가 무엇보다 지켜야 하는 ‘節’을 강조했던 것이다. 이는 두 지성이 17세기라는 혼란한 시대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하는 고민과도 맞닿아 있는 바, 김시습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그 일단을 엿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Heo-mok and Song Si-yeol tried to reinterpret Kim Si-seup in the 17th century, and what context it took place in. The most important works are Heo Mok's 「ChungSaYeolJun(淸淸列傳)」 and Song Si Yeol's 「HongSanHyeonDongBongSaGi(鴻山縣東峯祠記)」. Prior to looking at this, Heo-Mok and Song Si-yeol dealt with the main character types that they noticed, and looked at how each person looked at Kim Si-seop based on such work. Heo-Mok is called the “Geungi Namin(近畿南人)” bu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Beukin(北人) connections. Therefore, Kim Si-seup was described while inheriting such a scholarly trend. Song Si-yeol inherited and developed the discussion based on Lee lee’s 「Kim Si-seup jeon(金時習傳)」.
    Heo-Mok continues the image of Kim Si-seup, which was held by Ki Ja-hun and Yu Mong-in of the Beukin(北人) community, citing Lee-Ja’s ‘HangUJuckBul(行儒迹佛)’. Song Si-yeol emphasizes the temple as he proceeds based on Lee-lee’s ‘SimUJuckBul(心儒迹佛)’ and explains Kim Si-seup’s temple by bringing Tae-baek(泰伯) to represent his Buddhist figure. Mencius used to describe Baek-Yi(伯夷) as ‘SungJiChungJa(聖之淸者)’, and the two applied the ‘Chung(淸)’ and ‘Jul(節)’ found in Bae Yi to Kim Si-sup as well. Nevertheless, their emphasis was different. Heo-Mok emphasized the ‘Chung(淸)’ that his subjects could take when meeting the world's hardships, and Song Si-yeol emphasized ‘Jul(節)’ that his subjects should protect above all else.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agony of how the two intellectuals will solve the chaotic era of the 17th century, and I tried to get a glimpse of the story through a prism called Kim Si-se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