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훅송과 한국의 대중음악 (Hook Songs and Popular Music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2.06
27P 미리보기
훅송과 한국의 대중음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7호 / 263 ~ 289페이지
    · 저자명 : 서정환

    초록

    이 글은 신한류의 중심인 케이 팝에 대해 훅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훅송은 스타시스템에 의해 양산된, 소위 아이돌이라 불리는 걸그룹과 보이그룹에 의해 주로 연행되는 특유의 음악으로 볼 수 있으며음악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극단적으로 후렴구를 강조하는 서사구조를지닌다. 실제로 우리는 훅송을 후렴구를 강조하는 중독성 있는 상업적인 음악으로 이해하며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훅송은 그것이 지니고 있는 극단성과 단순성으로 인해 비판적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훅송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훅송의 본질인 훅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우리는 훅송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훅은 ‘우리가 어떤 하나의 곡을듣는 순간부터 그 곡에 대해 기억하는 여러 부분들’로 정의될 수 있다.
    훅송 역시 훅에 대한 이러한 정의를 참고하여 후렴구를 포함한 음악내·외적인 모든 부분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훅송은 단순히 후렴구를 강조하는 노래로만은 볼 수 없으며 훅송에서 나타나는반복과 단순성 역시 반드시 부정적으로만은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반복에 의한 단순성이 결국 음악의 다른 요소들을 이끌어내며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훅송에는 기존 음악 양식의 한계에 대한 대중의 욕망이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이 시대 전체의 사회 현상과 맞물려 있는 것이기도 하다. 훅송에서 나타나는 형식과 서사의 파괴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최근의 노래에서 서사적인 의미를 찾는 것은 힘들 수 있지만 이러한 무의미성을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볼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의미 있는 독특한 리듬, 비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가사 대신 다른 음악 요소들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가사를 숨기는 방식, 즉 또 다른 형태의 서사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훅송은 단순히 전통적인 음악분석관점인 멜로디나 화성의 분석을 넘어 양식적인 측면에 있어 하나의 개성 있는 음악스타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훅송은 그것의 핵심인 훅으로 대표되는 음악이며 한편으로는 요소요소에 훅들이 숨겨져 있는 음악으로 볼 수도 있다. 비록 이 음악 양식이 현 시점에서 비난받을 수 있을지 몰라도 한국의 대중음악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훅송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ill focus on hook songs to understand K-pop, which is at the center of what we call New Korean Wave. Hook songs can be understood as unique music performed mostly by girl groups and boy groups or the so-called idols, which are mass-produced by star systems.
    In practice, we regard hook songs as addictive commercial music, which emphasizes their choruses. In terms of music style, hook songs have a narrative structure that emphasizes the chorus extremely. In general,hook songs are criticized for their extremity and simplicity, but it is hard to find systematic analysis of hook songs.
    By trying to re-interpret hooks, which are the essence of hook songs,however, we can induce a new approach to hook songs. Hooks can be defined as some parts of music we remember from the moment we hear that music. We can approach hook songs holistically in all aspects inside and outside the music including the chorus referring to the definition of hooks as stated above. Hook songs cannot be simply considered as music that emphasizes choruses, and repetition and simplicity shown in hook songs cannot be seen negatively necessarily. For simplicity by repetition implies the possibility to open a new horizon in music by bringing up other elements of music.
    Hook songs reflect the desire of people, which goes beyond the limitation of existing music styles. This is also tied to social phenomena in this age. Destruction of forms and narratives, which is shown in hook songs,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It can be difficult to find narrative meaning in recent music, but such meaninglessness can be understood as forming unique rhythms and beats, which is meaningful in itself, not as meaning nothing.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delivering messages through musical elements other than lyrics, or seen as a way of hiding lyrics, that is, as another type of narrative.
    Therefore, hook songs can be recognized as a characteristic music style, going beyond analysis of melodies and harmony, which are the perspectives o f traditional mu sic analysis. Hook songs a re music that i s represented by hooks, their core, or they can be considered as music where hooks are embedded across various elements. Even though this music style can be criticized at this moment, we cannot deny that it is affecting significantly across popular music in Korea. Thus, hook songs need to be re-evaluated as a style that represents this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