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길동전> 속 ‘가정 내 서얼차대’의 실상과 그 해소의 의미 -서얼 소통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주목하여 - (A study on development and resolution of discrimination at home shown in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6
35P 미리보기
&lt;홍길동전&gt; 속 ‘가정 내 서얼차대’의 실상과 그 해소의 의미 -서얼 소통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주목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34호 / 135 ~ 169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초록

    <홍길동전>은 서얼에 대한 차별대우 가운데 ‘호부호형 금지’ 및 ‘가중 천대’와 같은 가정 내 차대와, 급제 후 관직 제수의 제한과 같은 사회 및 국가 내 차대를 부각시키고 있다. 필자는 본고에서 가정 차원의 차대인 ‘호부호형 금지와 가중 천대’에 한정하여, 작품 속에서 그것이 어떻게 그려지고 또 해소되는지, 그리고 그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근본이 천생이라 10세가 넘도록 호부호형할 수 없고 집안 비복들이 자신을 천대함을 한탄하는’ 길동의 발언을 통해, 서얼에 대한 가정 내 차대로서 ‘호부호형 금지’와 ‘가중 천대’ 문제가 작품의 의미 지향점이 된다고 보았다. ‘호부호형’의 경우, 길동은 부친뿐만 아니라 나라의 군신에게 이것을 하소연하였는데, 막상 왕이 아니라 부친이 집안에서 이를 허락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중 천대’의 경우, 길동이 부모 외에도 적굴의 도적들과 두 부인에게 이것을 말한다. 이는 가족, 집안의 노비 뿐만 아니라 향당의 친척까지도 길동을 천대함에 비추어 볼 때, 이 문제가 결국 ‘가정을 포함한 전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해결되어야 일’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홍길동전>에서 ‘가중 천대’는 부친이 죽기 전 가족들에게 ‘길동에게 적서 분별하지 말고, 그의 모친을 후대하라’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해소된다. 이처럼 ‘호부호형 금지’는 가장권을 지닌 부친 홍판서가 제1차로 한정된 자리에서 길동에게 해소해주었고, ‘가중 천대’는 제2차로 공개된 자리에서 가족들에게 그 해소를 명령하는 단계를 거친다.
    다음으로, 서얼차대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들이 주로 과거의 허용과 같은 허통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관직 제수의 제한을 없애려는 통청의 문제로 옮겨졌다가, 1700년대 무렵부터 비로소 선각적 지식인들에 의해 ‘호부호형 금지’와 ‘가중 천대’ 등의 부당성이 제기되면서 서얼들과 조정 대신들 사이에 ‘가정 내 차대’ 문제가 공론화되고 있었다. 중요한 것은 1700년대 이후 지식인뿐만 아니라 왕과 대신을 포함한 집권층 대부분이 적서의 분별은 한 집안의 일이고 관직 제수의 제한(분별)은 조정의 일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호부호형 금지’는 한 집안에서 행해지는 것이어서 오직 부형이 이 문제를 해결해주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이를 통해 <홍길동전>에서 그려지고 있는, 서얼에 대한 가정 차대의 해소 과정과 그것이 지닌 의미가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었다. 먼저 그 차대가 호부호형 금지뿐만 아니라 가족과 가정 내 노비 나아가 향당의 친인척들의 천대도 중요함을 부각하기 위함이니, 바로 이 때문에 부친 홍판서가 두 번에 걸쳐 이것의 해소를 명령하는 과정을 밟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길동이 부친 외에도 경상감사 인형과 국왕에게 호부호형의 문제를 하소연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이 아닌 부친이 가정 내에서 해결해준 것은, 1700년대 이후 서얼차대 문제의 해결 주체를 조정과 가정으로 나누어 보려는 당대 지배층과 서얼들의 인식이 반영된 탓이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in motive in <Hong-gildon Jeon> is discrimination against the main character Hong Gildong who is born as a Seo-eol(서얼). Seo-eols are born to their family from outside the legal marriage or from a wife other than the first one. It deals with discrimination both at the societal and national level and at the home level as well. In my paper, I focus on this discrimination issue at home; he was prohibited from (1) calling his father and brothers as such and (2) treated contemptuously. I examine how these two aspects of the discrimination at home are developed and then resolved in the story and describe what this implies given the social structure of that time period in history.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 hero Hong Gildong laments himself of being not allowed to call his father as ‘father’ and his brothers as ‘brothers’ and being mistreated by other family members. This prohibition and contemptuous treatment is the main theme of this work. Hong Gildong appeals to his father and the king for the injustice of the prohibition. He later gets permission from his father to call him ‘father’ in certain places and situations. I emphasize that this first problem is resolved in a personal meeting between his father and himself. Hong Gildong also claims to his parents and thieves, and his two wives that contemptuous treatment is unfair and unjust. Per his persistent claim, his father, facing his own death, orders that his family members should not treat Gildong contemptuously and should treat his mother courteously. The resolution of this second problem takes place in a public space.
    Next, I investigate how the social custom of the discriminative treatment against Seo-eol at home has become obsolet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have found the following. Since 1700s, conscientious intellectuals has started to raise in public the issue of injustice embedded in the tradition of the prohibition and the contemptuous treatment of Seo-eols at home. Not only the kings and their bureaucracy, but also the intellectuals considered the discrimination against Seo-eols as a domestic issue. Therefore, it had to be the farther’s authority to decide how to teat his son at home.
    Based on these findings, I claim that the author’s intention was to extend the issue of discrimination to not only that against Seo-eol but to that against other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servants and close relatives living in the same village. Because of this, Hong Gildong’s father resolved the domestic discrimination in two phases, prohibition first and then mistreatment later. Although he compiled his petition to the king and his government, it was not the king but his father who settled the conflict. This line of story development reflects the notion shared among those with power and Seo-eols as well that discrimination against them should be settled within a family, thereby treating resolution of this social problem as being separate from the realm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