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멜로드라마 속의 사로잡힌 정동(Captive Affects), 탄력적 고통(Elastic Sufferings), 대리적 대상(Vicarious Objects) —어구스틴 잘조사의 멜로드라마 재고 (Captive Affects, Elastic Sufferings, Vicarious Objects in Melodrama―Refiguring Melodrama by Agustin Zarzos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2
34P 미리보기
멜로드라마 속의 사로잡힌 정동(Captive Affects), 탄력적 고통(Elastic Sufferings), 대리적 대상(Vicarious Objects) —어구스틴 잘조사의 멜로드라마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5권 / 1호 / 429 ~ 462페이지
    · 저자명 : 안민화

    초록

    본고는 어구스틴 잘조사(Agustin Zarosa)의 2013년 저작, <영화와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재고하기: 사로잡힌 정동, 탄력적 고통, 대리적 대상>(Refiguring Melodrama in Film and Television: Captive Affects, Elastic Sufferings, Vicarious Objects)을 통해, 기존의 멜로드라마의 핵심 개념들로 다루어져 왔던 모드, 정동, 고통(히스테리아), 과잉에 대한 논의들을 계보학적으로 다시 논의하며, 동시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정동이론과 환경, 동물등과 포스트 휴머니즘 담론이 어떻게 멜로드라마 개념에 접목될 수 있는 지 논한다.
    1장에서는, 모드를, 선과 악이 한 쌍이 되는 매커니즘 안에서, 사회 전체를 가로지르는 고통의 시각성을 재분배하는 장치로서의 멜로드라마의 개념으로 넓히며, 선과 악의 구별을 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고통을 드러내는 멜로드라마의 모드에 대한 브룩스의 논의를 반박한다. 2장은 들뢰즈식 형이상학의 관점으로부터 멜로드라마가 의미의 체계라기보다는 ‘특정화’(sepcification)의 탄력적 시스템임을 논한다. <언덕위의 집>(빈센트 미넬리)의 분석을 통해, 신체들간의 조우를 통해 생성된 정동과 –의미가 아닌-정동이 흐르는 장소로써의 미장센에 주목한다. 3장은 브룩스의 붕괴된 도덕적 질서를 회복시키는 멜로드라마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 반대하며, 멜로드라마는 미해결로 남아 있는 (여성) 고통에 대한 인지 혹은 시각화를 위해 존재한다고 강조한다. <세이프>(토드 헤인즈)는 환경으로 인한 여성 고통을 다루면서 기존의 여성 히스테리와 멜로드라마라는 논의에 생태비평주의적 관점을 더한다. 나머지 두 챕터들은 동물과 포스트휴먼 멜로드라마를 논의함으로써, 인간의 명제를 제한하고 확장하는 데 있어서의 멜로드라마의 역할을 연구한다. 희생과 과잉이라는 멜로드라마의 명제가 어떻게 –인간중심적인-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지 분석한다.
    잘조사는 피터 브룩스의 논의에서 도출된 모드, 정동, 고통의 개념들을 일부분 받아들이면서도, 각각 들뢰즈주의, 페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캐리 울프, 아키라 리핏)의 논의들을 부가하며, 브룩스의 정전화된 멜로드라마의 개념에 도전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s how the concept of melodrama can be articulated with the Affect Theory and Posthumanism in relation to animal or environment representation which have emerged as the new topics of the recent era. The argument will be made through the discussion of Agustin Zarzosa’s book, Refiguring Melodrama in Film and Television: Captitve Affects, Elastic Sufferings, Vicarious Objects. Using a genealogical approach, the book revisits the notion of mode, affect, suffering (hysteria), and exces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the existing studies of melodrama. In chapter one, he broadens the concept of melodrama as a mode into the means of redistribution of suffering across the whole society in the mechanism of the duo of evil and virtue. It is the opposition of Brooks’s argument in which melodrama functions as the means of proving the distinction between evil and virtue. Chapter two focuses on the fact that melodrama is an elastic system of specification rather than a system of signific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Deleuzian metaphysics. Through the analysis of Home from the Hill (Vincente Minnelli, 1959), this chapter pays attention to an ‘affect’ generated by the encounters between the bodies and the Mise-en-Scène as a flow not of a meaning but of an affect. Chapter three argues that melodrama should reveal an unloved (woman’s) suffering, opposing the discussion on the role of melodrama as the recovery of moral order. Safe (Todd Haynes, 1995), dealing with female suffering caused by the industrial and social environment, elaborates on the arguments on melodrama in relation to female hysteria with ecocritical standpoints. The rest of the two chapters discusses the role of melodrama for the limitation and extension of the notion of the human through ‘animal’ and ‘posthuman’ melodrama. It argues that the concept of melodrama as ‘excess’ and ‘sacrifice’ blurs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inhuman. In summary, although the author Zarzosa partly agrees with Peter Brook’s notion of mode, affect and sufferings,he elaborates the concept of melodrama, by articulating philosophical arguments such as Deleuzianism, feminism, and posthumanism (Akira Lippit and Carry Wolf) with the melodrama. Thefore, Zarzosa challenges the concepts of melodrama led by Brooks, which had been canonical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