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드라마 속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의 인과성 고찰: <나의 해방일지>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Causality of Meritocracy and the Collective Boredom of the Young Generation in Dramas: Focusing on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11
27P 미리보기
드라마 속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의 인과성 고찰: &lt;나의 해방일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 / 61호 / 1 ~ 27페이지
    · 저자명 : 김동환, 홍종열

    초록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한 1인 문화를 특정 세대의 문화특질로 보긴 어렵다. 짐멜이 근대 이후 개인주의의 등장 이면에 자본주의적 관계변화가 있다고 본 것처럼, 1인 문화의 창발 역시 자발적인 것이 아니다. 1인 문화의 이면에는 니트족, 은둔형 청년, n포 현상 등 문제 상황에 부딪힌 청년들의 모습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집단적 권태’라는 청년세대의 특수한 감정상태에 주목하게 한다. 권태는 좌절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무기력과, 선택이나 지향의 포기로 이어지는 감정상태이다. 청년세대가 겪는 권태는 두 가지 사회적 요인이 만나 인과성을 이룬다. 하나는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기인한 소외현상이고, 다른 하나는 자본주의와 함께 태동한 능력주의이다.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사회초년생 시기까지 한국사회의 능력주의 담론과 신자유주의적 시장논리에 장기간 노출되어 나타난 청년소외가 하나의 감정상태가 될 때 청년세대는 ‘집단적 권태’를 경험한다.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를 잘 그려낸 드라마가 <나의 해방일지>이다. 이 작품은 한국 청년세대의 감정상태의 기저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극중 인물은 모두 행복을 추구하지만 그것은 곧 포기와 단념, 권태로 이어진다. 보드리야르는 평등의 대전제가 행복이며, 현대인의 행복은 소비사회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했다. 그러므로 평등과 행복은 모두 소비사회가 만들어낸 하나의 허구라는 것이다. 그런데 청년세대는 능력주의에 의한 거듭되는 소외를 경험하며 평등과 같은 거대담론에 대해 무기력한 상태가 되었다. 작품 속 인물들은 경쟁과 성취에 익숙한 기성사회에 대해, 성과에 대한 정당한 보상 대신 그 다음의 성과만을 바라는 사회에 대해, 좌절 이후의 보호막까지 제거한 신자유주의 사회에 대해 저항할 힘을 잃고 집단적 권태라는 감정상태를 드러낸다. 이는 1인 문화의 근본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대철학이 주목한 권태의 속성에 기대어 <나의 해방일지> 속 청년세대가 어떻게 각자의 존재 명령으로부터 도피하고 저항하는지 살폈다. 작가는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해 청년세대가 능력주의와 같은 기성사회의 억압으로부터, 소비사회의 부당함으로부터, 성장 담론의 허위의식으로부터 ‘뚫고 나가’기 위해 오히려 ‘깊은 권태’를 마주하게 되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는 청년세대가 처한 현실에 대한 유의미한 서사적 해법을 보여주었고, 1인 문화나 n포 현상 등 청년세대의 선택에 대해 근본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영어초록

    It is difficult to view the one-person culture centered around the youth generation as a cultural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generation. Just as Simmel believed that capitalist changes in relations were behind the emergence of individualism since the modern era, the emergence of the one-person culture was not spontaneous either. Behind the one-person culture, there are youth who have encountered problematic situations such as NEETs, reclusive youth, and the n-po phenomenon. This draws attention to the special emotional state of the youth generation called ‘collective boredom.’ Boredom is an emotional state that leads to apathy resulting from repeated frustration and the abandonment of choices or orientations. The boredom experienced by the youth generation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wo social factors. One is the alien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spread of neoliberalism, and the other is the meritocracy that emerged with capitalism. When the alienation of youth, which has been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the discourse of meritocracy and neoliberal market logic in Korean society from elementary school to the early years of social life, becomes an emotional state, the youth generation experiences ‘collective boredom.’ A drama that well depicts the collective boredom of the youth generation is <My Liberation Notes>. This work allows us to look into the basis of the emotional state of the youth generation in Korea. All the characters in the play pursue happiness, but that soon leads to giving up, resignation, and boredom. Baudrillard said that the premise of equality is happiness, and that the happiness of modern people cannot escape the logic of a consumer society. Therefore, both equality and happiness are fictions created by a consumer society. However, the youth generation has become helpless against grand discourses such as equality as they experience repeated alienation due to meritocracy. The characters in the work lose the power to resist the established society accustomed to competition and achievement, the society that only expects the next achievement instead of fair compensation for achievement, and the neoliberal society that removes even the protective shield after frustration, and reveal an emotional state of collective boredom. This can be said to be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one-person cultur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youth generation in <My Liberation Notes> escapes and resists each individual’s command of existe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oredom that modern philosophy has focused on.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the author depicts a situation in which the young generation encounters ‘deep boredom’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oppression of the older generation, the injustice of consumer society, and the false consciousness of growth discourse. This shows a meaningful narrative solution to the reality that the young generation faces, and allows us to understand the choices of the young generation, such as the one-person culture and n-po phenomenon, from a fundamental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글로벌문화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