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세계 미술 속의 한국 현대 공예: 2013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마더 & 차일드》전의 의미와 시각 (Beyond the Orientalism: The Perspective and the Meaning of “Mother & Child,” the Main Exhibition of the 2013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3.06
28P 미리보기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세계 미술 속의 한국 현대 공예: 2013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마더 & 차일드》전의 의미와 시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0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박남희

    초록

    이 글은 동시대 한국 현대공예의 현상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라는 문화적 소통의 장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동시대는 문화의 다양한 양상이 공존하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를 속성으로 문화의 종속성이나 위계성에서 탈피하여 개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 현대 공예는 근대 이래 ‘공예’라는 개념의 도입과 함께 서구적 범주와 체제를 수용하면서 적지 않은 정체성 혼란의 역사를 지나왔다. 새로운 시대적 조건으로서 산업화를 지나면서 공예는 속성으로서의 예술 범주와, 생산과 실제 삶에서의 유통으로서 산업 범주를 오가며 혼성적인 존재감을 갖은 탓이다. 여기에 아카데미와 단절한 전승 공예로 하여 다층적인 구조를 만들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9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가 공예문화 소통의 장으로 출발함으로써 각각의 문제들이 서로 노출되며 그간 집중되어온 관심사들과 문제들을 제시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 행사가 국제적인 공예비엔날레로서 굳건한 위치를 차지하지는 못한 실정이지만 적어도 현재 공예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한국에서의 실질적인 현상을 반영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2013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본전시는 이 같은 그간의 현실을 인식하고 공예의 주요한 가치로서, 곰브리치(Gombrich)가 현대미술이 상실했다는 ‘거장성 또는 탁월함(Meisterschaft)’과 담론을 보고자 한다. ‘운명적 만남, 마더&차일드’라는 개념을 통해 인류의 문명과 사유가 오늘에 이르렀던 일체의 관계와 개입의 시선으로 공예를 바라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세계 미술 속의 한국 현대공예는 이러한 동시대적 패러다임 아래 한국의 역사성과 특수성의 조건에서 만들어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를 통해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을 넘어 탈경계와 혼성의 상황성을 현상적으로 제안하여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se days, the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culture are coexisting at the same time. In this point of view, the contemporary society with multi-culturalism is rather handled with the energy of periphery and narrative than driven by a central ideology. This epoch finds the meanings in the individual’s competence and identity above all, out of cultural subordination or rank.
    This writing started with the discussions on the concept, category, and phenomenon of the universal contradiction that craft contains in the pursuit of the Korean contemporary craft’s position within the art of the world. This study has pointed out that Korean craft exists in a dual structure with its identical dispute. Meanwhile,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began in 1999 and has put the basis on vitalizing the present discourse by attempting communications among diverse debates. There is another problem in the craft biennale, of course, in such circumstances as most of the global art biennales have been isolated from public or have intervened actively to make new artistic trends. The problem of craft biennales is that they deal with the individual property or mutual communication mostly within formal or material sphere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main exhibition of the eighth Biennale aims to focus on the matter of the “Meisterschaft” that craft contains. It is the main exhibition Mother & Child to create a new discourse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craft as the materialistic and aesthetic entity is grounded on the most familiar reality of life. The humankind coexists and evolves within the influences from the previous things such as politics, society, religion, art, culture, nature, and environment or surroundings; and now creates dynamics in various ways due to the advanced communications. Like the intimacy of what is close or the freshness of what is at a distance, diverse factors understand their ‘differences’ and grow through them. The human, art, nature and environment all grow within the relationships with whatever around them or with previous things. I observe that the whole relationships of them are analogous with that of “Mother and Child.” In the relationship of the both sides, there are mutual cares, individual life of struggles, and the sublimes generated by some of the third factor in this relationship, which is the power of succeeding history. To sum up, the main exhibition Mother & Child intends to allow people to experience a mutual healing time for their mind and body by suggesting former cyclings of this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