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꽃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의 양상과 특징 : 1950년대 노래책 속 작품을 중심으로 (Aspects and Features of Popular Songs about Flowers in 1950s Songbook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9
28P 미리보기
꽃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의 양상과 특징 : 1950년대 노래책 속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58호 / 131 ~ 158페이지
    · 저자명 : 장유정

    초록

    본고는 1950년대 말에 발간된 노래책 세 권 속 ‘꽃노래’의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노래책 자료를 소개하는 것과 동시에 그 책에 실린 노랫말들을 모두 검토하여 그 중에서 꽃을 소재로 한 노래를 선별하고 그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노래책 세 권을 선택한 것은 실증적인 연구를 위한 편의상의 선택이면서 이제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노래책 연구를 위한 방편이었다.
    노래책 세 권에 실린 514곡의 대중가요 중에서 제목이나 노랫말에 ‘꽃’이 등장하는 노래는 중복되는 노래 1곡을 제외하고 총 90곡이었다. 노랫말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긍정적인 내용의 노래와 부정적인 내용의 노래로 나눈 결과, 긍정적인 내용의 노래는 30곡, 부정적인 내용의 노래는 60곡으로 나타났다. 이후, 각 노래에서 ‘꽃’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긍정적인 내용의 노랫말에서 ‘꽃’은 첫째, 청춘과 사랑의 표상, 둘째, 꽃의 예찬, 셋째, 봄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청춘과 사랑의 표상에서 구체적인 꽃보다 보통명사 ‘꽃’이 주로 등장했다면, 꽃의 예찬과 봄의 상징에서는 특정 꽃을 들어 연상 작용을 통한 시각적인 효과마저 노렸다.
    반면에, 부정적인 내용의 노래에서 ‘꽃’은 첫째, 슬픈 여인의 초상, 둘째, 꽃의 재생성과 인간의 유한성의 대비를 통한 비극의 강조, 셋째, 우울한 감정의 이입을 보여주었다. 노랫말에서 꽃은 실제 꽃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은유와 상징의 도구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꽃이 여성을 상징하거나 외면적 아름다움을 노래한 것은 일종의 ‘꽃’이 지난 상투적 표현이라고도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한시, 시조, 민요와의 비교를 통해 대중가요 속 꽃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여타 장르와 비교하여 대중가요 속 꽃 노래는 사색적이거나 철학적이지도 않고 민요가 보여주는 것과 같은 솔직함이나 적나라함과도 거리가 있다. 하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1950년대 꽃 노래에서 찾은 꽃의 재생성과 인간의 유한성은 우리에게 시사점 내지 교훈을 주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Flower Songs" in three songbooks published in the late 1950s. At the same time as introducing the materials for the song book, we reviewed all the lyrics in the book, selected flower-themed songs, and examined their aspects and characteristics. Choosing three songs from the 1950s was a convenience choice for empirical research and a way to study songs that had never been studied before.
    Among the 514 popular songs in the three songbooks, a total of 90 songs were featured, except for one overlapping song, which featured "Flower" in the title or lyrics. The overall review of the lyrics resulted in 30 positive songs and 60 negative songs. Later, we looked at what function 'Flower' does in each song.
    In the lyrics of positive content, 'Flower' was used as a first, a symbol of youth and love, second, a glorification of flowers, and third, a symbol of spring. If the common noun "Flower" appeared mainly on the table of youth and love, the symbol of flowers and spring held a certain flower to seek the visual effect of associative action.
    On the other hand, in a song of negative content, 'Flower' showed first, a portrait of a sad woman, second, the emphasis of tragedy through the contrast of flower regeneration and human finiteity, and third, the transfer of melancholy emotion. In the lyrics, flowers appeared as real flowers and were used as a metaphor and symbol. The fact that flowers symbolize women or sing external beauty can be seen as a kind of cliche that "flowers" have passed.
    In Chapter 4,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s in popular songs through comparisons with Chinese poems, sijo and folk songs. Compared to other genres, flower songs in popular songs are not contemplative or philosophical, and they are far from the frankness or nakedness of folk songs. But that's not all. The regeneration and human finiteity of flowers found in 1950's flower songs also give us les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