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약성경과 고대 오리엔트 문화 맥락 속에 남겨진 장애아(동)의 출생, 성장, 고용의 흔적 (Traces of birth, growth, and employ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in the context of the Old Testament and ancient Orient cultur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3
37P 미리보기
구약성경과 고대 오리엔트 문화 맥락 속에 남겨진 장애아(동)의 출생, 성장, 고용의 흔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9권 / 1호 / 329 ~ 365페이지
    · 저자명 : 오민수

    초록

    본 소고는 구약 문헌과 쐐기문자 문학에 기록되었던 내용을 토대로 장애아의 출생, 성장과 환경, 고용의 흔적들을 탐색하고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비교문화 연구와 문헌학적 접근법을 사용한다.
    구약성경 문헌은 장애를 주요 주제로 언급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문학적인 서술의 맥락을 넘어서 장애는 고대 오리엔트와 구약성경 시대의 엄연한 현실이었다. 장애 발생의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출생을 들 수 있다. 성경의 저자들은 사산이나 낙태의 가능성을 알고 있었다(사 37:3; 민 12:12; 욥 3:16; 전 6:3). 출산 과정에 겪었던 슬픔은 그 다음 아이의 이름에 반영되었다. 보상명은 출산 시 가족 형편을 반영해준다(Manasse, Tachat, Jojakim, Nehemia, Tanchumet, Salomo, Jitro). 감사명이나 소원명은 분만 과정에서 난산을 되돌아보게 한다(Semarija, Ezchiel, Petachija, Perez). 생리적으로 장애아의 분만 시 유산의 가능성이 있지만, 오랫동안 진행되는 출산 과정에서 산소부족의 대뇌 손상을 유발한다. 이런 장애는 부차적으로 신경계나 근육계에 이상을 일으키고 신체적 장애나 정신적 장애를 발생시킨다. 성명학을 통해 반추해 볼 때, 장애는 당시 부인할 수 없는 현실 일상이었음을 반영하여 준다.
    장애인으로 태어난 아기가 생존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활동을 하였다는 사실은 구약성경과 메소포타미아 문헌을 통해 입증된다. BC 1,700년에 발견된 「길가메쉬 서시사」에서, 천 조각을 걸쳐 입고 저품질 음식을 먹고 있는 릴루/릴라투(Lillu/Lillatu)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 본문은 (정신적인) 장애에도 불구하고 - 본인의 강인한 생존 의지 덕택이든 가족의 평균 이상의 수발을 통해서든 - 생존하였음을 알려 준다. 릴루(Lillu)는 우매와 정신적 장애, 모두를 의미할 수 있었다. 구약성경의 커실(kĕsîl/어리석은)의 개념에도 동일 현상이 관찰된다(잠 17:2; 시 49:11). 현실적 교육과 훈육을 목표로 하는 지혜문학에서 ‘어리석다’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볼 때, 구약성경 시대의 사람들에게 장애는 전혀 동떨어진 것이 아닌 일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장애아의 출생 이후, 그들의 생활환경은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데이르 엘-메디네(Deir el-Medineh)에서는 중류층 4살 소년과 이집트의 한 뇌성마비 여인은 상류층의 일원으로 신분에 걸맞게 매장되었다. 하지만, 경제적 압박이 심각한 시절, 유아 살해(메소포타미아 의료편람)나 유아 유기(사르곤, 모세, 이스마엘, 발가숭이 예루살렘)가 발생할 수 있었다. 유아 살해는 고대인들의 신앙 관습상 쉽지 않았으며 고비용의 의식(namburbi)이었다. 이로 인해 유기가 더 번번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쐐기문자 이름 중 ‘거리 출신 사람’(Sulāia/Suqāia), ‘개의 주둥이에서 건진 사람’(Ina-pi-kalbi-irich)이나 ‘도시 묘지 출신의 사람’(Hariṣānu)란 이름들이 자주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노예이거나 신전에 부속된 사람, 또는 노동 인력들인데, 고귀한 도시가계로 신분 상승이 가능했다. 이런 이름에는 조상명이 부재한 것이 특징인 데, 아이들이 길거리에서 주운 이후 입양의 절차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장애아의 경우도 이와 동일하였을 것이 당연하다.
    유기의 경우, 공공장소나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지점이나 강 이외에 신전에 맡기는 헌상도 있었다. 쐐기문자 텍스트는 BC 3,000년부터 여자와 아이들의 신전 헌상을 기록하고 있다. BC 2,000-1,000까지 토지와 동물, 사람의 헌상은 넓게 유포되어 있었다. 혼외정사로 태어난 아기나 고아가 된 아이들뿐 아니라, 가족 중, 장애가 있는 일원 역시도 유아 유기의 대상이었다. 구약성경 언급된 신전 헌상의 예로는 포로에서 귀환한 사람 중 “느다님 사람들”(스 2:42; 느 7:46-56)이 있다. 이들의 계보는 왕정까지 거슬러 올라가며(HAE I, 383; 수 9:21-27; 신 29:10), 느다님의 족장 중에는 조상명이 구체적인 장애명이 하던 인물도 있었다(Qeros, Gachar, Paseah, Haqupa, Harscha).
    신전헌상 전통은 중세 수도원에도 발견된다. 유명한 선교사 보니파티우스와 교리가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들의 부모가 수도원에 바쳐진 장애인이었다. 장애인 수도사 헤르마누스 콘트락투스는 역사, 음악,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 수도원에 헌상된 이들은 중세의 종교 엘리트 형성에 이바지하였다. 셀레스타 도미니크 수도원의 묘지에는 매장 인원의 약 20%가 장애인 수도자였음을 말한다. 신전 헌상은 문화를 망라하는 현상이었고, 구약성경과 그리스도교 권의 경우, 이들은 성전이나 성소의 속한 사람으로, 성직 직원과 봉사자로 일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레위기 19장 13-14절은 재조명되어야 한다. 14절은 장애인에 대한 조롱이 주제가 아니라 고용인의 특별한 사려 요구에 초점이 있다. 그 요구가 레위기의 제사장적 고백문답에 기록되었다는 점이 의미심장하다. 문화권을 망라한 신전헌상 현상을 주목하여 볼 때, 이 금령은 평범한 사람들의 장애아를 돌보며 훈육할 수 있는 기관으로 가장 유력한 곳인 성전권에 고향으로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shed light on the traces of the birth, growth and environment, and employ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records in Old Testament literature and cuneiform literature. To this end, the researcher uses cross-cultural research and a philological approach.
    Biblical writers wer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stillbirth or abortion (Isa 37:3; Num 12:12; Job 3:16; Eccl 6:3). The ‘compensation name’ reflects the family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birth. ‘Gratitude name’ or ‘Wish name’ looks back on the difficult delivery during the delivery process. The prolonged process of childbirth causes cerebral damage due to lack of oxygen. These disorders secondary cause abnormalities in the nervous system or muscular system and cause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Looking back through the study of statements, disability was an undeniable daily reality at the time.
    In 「The Epic of Gilgamesh」, discovered in 1700 BC, there is a character called Lillu/Lillatu who wears pieces of cloth and eats low-quality food. Lillu could mean both foolishness and mental handicap. The Old Testament kĕsîl (fool) is an equivalent concept (Prov. 17:2; Ps. 49:11). In wisdom literature aimed at education and discipline, the term ‘foolish’ appears frequentl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for the people of the Old Testament era, disability was not an isolated thing, but a daily life.
    In Deir el-Medineh, a middle-class four-year-old boy and an Egyptian woman with cerebral palsy were buried as members of the upper class, befitting their status. In times of severe economic pressure, infanticide (「Mesopotamian Medical Manua」l) or infant abandonment (Sargon, Moses, Ishmael, naked Jerusalem) occurred. Among cuneiform names, names such as ‘the man from the street’ (Sulāia/Suqāia), ‘the man rescued from the dog’s snout’ (Ina-pi-kalbi-irich), and ‘the man from the city graveyard’ (Hariṣānu) appear frequently. All of them were slaves, people attached to temples, or laborers, and through adoption, it was possible to rise to a noble urban family. It is conceivable that the same may be tru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abandonment, there was a dedication to the shrine. Cuneiform texts record temple dedications of women and children from 3000 BC. From 2000-1000 BC, the dedication of land, animals and people was widespread. The genealogy of the “Nethanims” (Ezr. 2:42; Neh. 7:46-56) goes back to the royal court (HAE I, 383; Jos. 9:21-27; Deut. 29:10), and among the Nethanim patriarchs, ancestors are named. There were also people with this specific disability name (Qeros, Gachar, Paseah, Haqupa, Harscha). The tradition of temple dedication is also found in medieval monasteries (Bonifatius, Thomas Aquinas, Hermanus Contractus). Consecrated to the monasteries, the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medieval religious elite. In this context, Leviticus 19:13-14 recorded in the priestly confession of Leviticus can be reviewed. Verse 14 is not about ridicule of disabled people, but rather about the employer's request for special consideration. Looking at the phenomenon of temple dedication that encompasses the cultural sphere, this prohibition is home to the most influential place, the temple region, as an institution that can take care of and discipline disabled children of ordinary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