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 - 195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The rural community Read by Literacy Geograph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2.09
23P 미리보기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 - 195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권 / 3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강정구, 김종회

    초록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문학지리학을 참조·활용하여 1950-70년대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신경림의 문학은 당대의 지배적인 이념에 휩쓸리지 않은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형상화했는데, 이러한 문학적인 특성이 농촌이라는 공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농촌이 2000년 이전에는 주로 피억압의 공간 혹은 내부식민지로 논의되었다가, 그 이후에는 특유의 공간성이 언급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림의 장편소설 『고독한 산』과 시집 『농무』와 『새재』를 대상으로 하여서 문학지리학의 기존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문학 속의 농촌을 세밀하고 종합적으로 읽고자 했다.
    첫째, 1950년대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은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전개된 진보적·단선론적인 역사주의의 관점과는 상당히 구별되는 불연속적·단절적인 성격을 지닌 역사적 차별화의 공간이었다. 시 「심야」와 「묘비」와 같은 1950년대의 시편에서는 촌락의 산이 자주 시어로 등장했는데, 이러한 시어는 당대의 지배적인 이념과 달리 슬픔과 고독의 감성을 드러낸 것이었다. 산은 신경림의 개인사에 비추어 볼 때에 우익 이념이 온전하게 구현되지 않고, 슬픔과 고독의 감성으로 어긋나는 불연속적·단절적인 공간이었던 것이다. 1950년대에 발표된 소설 『고독한 산』에서도 공간의 역사적 차별화가 잘 드러났다. 소설 속의 촌락은 반공주의가 전면에 부각된 전후 사회의 분위기와 사뭇 다른 공간이었다. 소설의 주인공인 종구와 그의 아버지 달영이 경험하는 촌락은 우익 이념이 통제·지배하는 진보적·단선론적인 역사주의적 공간이 불연속·단절되는 역사적 차별화의 공간이었던 것이었다.
    둘째, 시집 『농무』에서 보이는 1960-70년대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은 자본·권력의 정책적인 표상을 수동적으로 경험하면서 동시에 그 표상의 성격을 변화시켜 자발적으로 비판·저항하는 양면적인 체험공간이었다. 먼저, 농촌은 자본·권력의 정책적인 표상이 수동적으로 경험되면서 그 표상이 비판적으로 상상된 체험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조합 빚이 되어 없어진 돼지”(시 「시골 큰집」)와 “서울로 새로 트이는 길을 닦으러 나가”(시 「동면」)는 구절에서는 각각 양계·양돈과 도로개선·확충사업이라는 자본·권력의 정책적인 표상이 경험되면서도 그 표상의 성격이 비판적·부정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드러났다. 그리고, 시집에서는 비판적인 태도를 넘어서서 자발적인 저항의 모습을 형상화한 체험공간도 제시되었다. 시 「전야」에서 ‘그들’의 저항은 자본·권력의 지배전략을 동의하면서 전복시키는 양면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셋째, 1960-70년대 압축적인 근대화의 결과로 인한 지역 불균형과 이농·유민 현상에 대한 촌민의 심리 양상은 시집 『농무』와 『새재』에 잘 드러나 있었다. 시집 속의 농촌은 근대화의 과정에서 장소의 진정성이 붕괴되거나 그것이 인식·자각·성찰되는 공간이었다. 농촌은 무엇보다 장소에 대한 진정하지 못한 태도, 즉 무장소성이 경험되는 공간이었다. 시 「실명」의 시적 화자는 자본·권력이 조장한 지역 불균형 현상에 의해 무장소성을 경험한 획일적·평균적이고 단순한 존재였다. 이러한 농촌의 무장소성은 신경림의 문학에서 성찰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었다. 시 「각설이」의 시적 화자는 자신이 뿌리 뽑힌 자 혹은 무장소적인 비실존적 존재임을 인식·자각했고, 시 「군자에서」의 시적 화자는 뿌리 뽑힌 존재임을 인식·자각하는 데에서 좀 더 나아가 실존성을 지님을 보여줬다.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은 역사적 차별화, 양면적인 체험, 그리고 실존성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형상화된다는 점에서 당대의 지배적인 이념에 휩쓸리지 않는 독특한 공간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농촌 인식은 당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다양한 삶을 생생하게 다루는 문학적인 특성을 이루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show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read by literacy geography.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means Lonely Mountain(1958), Rural Dance(1975), and Sea-Hill(1979)by Shin, kyeong-rim. This essay is studied that Shin, kyeong-rim’s literacy character whichis variety and live person representedin Shin,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caused by place.
    The rural community in Lonely Mountain of 1950’s, is historic different space, which is the un-continual and extinct characters, against progressive historicism of anti-Communism. The middle of night, A tombstone,Lonely Mountain are this space.
    And the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60-70’s is double-faced Espace vecu that is experienced space positive or non-positive.
    The rural community is shown by policy of power and capital, and simultaneously resistance of villagers.
    The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60-70’s is the mental aspects of a non-balance of district and giving up farming.
    Expressly the aspect is seen in the Rural Dance and Sea-Hill . The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is a place of collapse in the truth of place, and reflect on placeles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