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양층언어(Diglossia) 속에 내재한 표준어 규범의 문제- (The Functional Approach to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by Prague Linguistic Circle -On the Question of Standard Czech's Norm in Diglossi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10
26P 미리보기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양층언어(Diglossia) 속에 내재한 표준어 규범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 23권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인천

    초록

    1930년 대 초반에 프라하언어학파는 ‘언어문화(Language culture)’의 문제를 언어학 연구의 화두로 삼으며, 체코 언어사회 내에서 이미 오랫동안 불안정한 지위를 차지해 왔던 표준체코어를 육성할 이른바 ‘언어문화이론(Theory of Language Culture)’을 주창한다. 이 이론은, 1870년대에 체코어 보호의 목적으로 언어순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언어규칙들을 제거하고 당대의 언어관습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어규범의 성문화를 그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이론의 핵심 원리들인 언어관습, 언어규범, 성문화 등은 한 언어권 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언어들의 육성보다는 특별히 언어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표준어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이론은 표준어만이 한 언어공동체의 수준 높은 언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았는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문화이론을 표준어의 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문화이론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언어의 공시성(Linguistic synchronicity) 원리는 언어의 순수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하나의 규준으로 작용하였지만, 언어 공시성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50년간의 언어관습’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에 훌륭한 작가의 명작에 사용된 체코어를 표준어의 규준으로 삼게 함으로써 이론의 경직성을 보여주었다. 이 학파는 또한 한 민족의 여러 가지 언어변이형 중에서 오직 표준어만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분야에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표준어의 기능적 문체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프라하언어학파의 기능주의적 학풍을 잘 드러내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문화이론의 원리에 따라 성문화된 표준어의 규범들은 사실 구어보다는 문어의 언어관습에 의존함으로써 체코어화자로 하여금 표준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국 실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도 여전히 체코의 언어사회에 진행되고 있는 양층언어상황(Diglossia)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rague Linguistic Circle was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Language Culture, as a topic issue of Czech linguistic situation in the beginning of 1930s.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Czech, they addressed primarily the unstable Czech language situa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The theory aimed at removing mandatory language rules which Czech linguistic purists formulated in 1890s and at codifying the norm of standard language which adequately reflects contemporary language custom.
    The key principles of the theory such as language custom, language norm and codification etc. focused on consolidating prestige of standard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that only standard language is assumed to support linguistic uniformity and stability and to promote language culture of a language community, the theory took a serious view of functions of standard language, in this context the theory is sometimes labeled as the theory of standard language.
    The linguistic synchronicity which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the theory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inguistic purity and accuracy, it showed however the rigidity of the theory since it confined the temporal scope to the recent 50 years’ language custom and limited the norm of Standard Czech to the Czech used mainly in ‘Good authors’ literature’.
    The linguists of the Prague School laid stress on the functional stylistics of standard language. This id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nly standard language performs the most effective function communication among all the other variants of the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theo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functionalism.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however, the codified norms of modern standard Czech still rely primarily upon the custom of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that of spoke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written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ctively used by Czech native speakers. The chronic problem of language situation in Czech Republic, so called ‘Czech Diglossia’ is recently growing wo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