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설화 속 속신(俗信)의 형태와 구술담화적 기능 - 도깨비이야기’를 중심으로 - (Types of Superstitions in Folktales and Functions of Oral Narratives - focusing on ‘Dokkebi stories’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11
35P 미리보기
구비설화 속 속신(俗信)의 형태와 구술담화적 기능 - 도깨비이야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42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유경자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인의 삶과 상상력이 만들어낸 도깨비이야기 속 속신들을 통해 그 속에 내포된 민간의 의식과 속신의 구술담화적 기능에 대해 살핀 것이다.
    속신에 내포된 민간의 의식에 있어 첫째, 도깨비는 사람의 형상으로 묘사되어 인간과 공존하고 있지만, 인간이 지나치게 도깨비와 친밀하면 화를 당하고 목숨까지도 위태롭다고 경고한다. 그리고 도깨비의 정체는 피, 특히 월경혈(月經血)과 결부되어 피에 대한 원초적인 생명력과 함께 월경혈에 대한 부정과 공포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도깨비속신에는 민간의 욕망이 투사되어 있는데, “도깨비와 사귀면 부자 된다.”라는 속신을 모태로 갖가지 속신을 생성시키면서,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부(富)와 명예에 대한 민간의 소망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에는 도깨비와 사귀는 방법, 도깨비의 능력, 도깨비와 맞서는 인간의 대응 등이 속신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셋째, 도깨비속신에는 민간의 음양오행관(陰陽五行觀)이 반영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음양의 조화를 통해 질서와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민간의 사고가 내재해 있다. 특히 ‘말[馬]・흰색・왼쪽’이라는 양(陽)의 기운과 신성함으로 음(陰)의 기운을 지닌 귀물(鬼物) 도깨비를 퇴치하려는 민간의 대응방식이 잘 드러나 있다.
    넷째, 우리 민간에서는 도깨비에 대해 양가감정(兩價感情)을 가지고 있어 도깨비를 교제와 활용의 대상임과 동시에 퇴치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그래서 도깨비를 적절히 활용하고 적당한 때에 퇴치하기 위한 묘안으로 ‘금기・대처・예방’의 형태로 속신을 구성해 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깨비속신의 구술담화적 기능에 있어 속신은 이야기의 소재 구실을 하면서 또한 서사구조를 결정짓는데, 특히 도깨비이야기는 핵심적인 속신을 기반으로 담화를 구성해 나가면서 거기에 부가적인 속신들을 투입시킴으로써 하위유형과 각편(version)을 만들어내고 있어 주목된다. 즉 속신을 매개체로 이야기가 생성되어 순환하며 확산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도깨비이야기 속의 속신들이 담화를 구성하는 긴요한 장치가 되어 이야기를 재생산해 내는 데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looks into superstitions in Dokkebi stories created by Korean people’s lives and imagination and discusses popular consciousness connoted in the superstitions and the functions of oral narratives.
    Concerning the implicit popular consciousness, we will discuss the following. Firstly, despite the fact that Dokkebi, as a depiction of a human figure, coexists with humans, people are warned that they might suffer misfortune and put their lives at risk if they become excessively close to Dokkebi. Additionally, the identity of Dokkebi is tied with blood, in particular, menstrual blood, which reveals raw vitality of blood and bad luck and fear for menstrual blood at the same time.
    Secondly, superstitions involving Dokkebi reflect human desire. Various types of superstitions have been born from the original superstition, ‘people become rich if they make friends with Dokkebi’, which reveals the human desire for wealth and honor that is difficult to achieve in reality. The superstitions in Dokkebi folktales provide a detailed look into how people make friends with Dokkebi, what kind of abilities Dokkebi have, and how humans stand up to Dokkebi.
    Thirdly, Dokkebi superstitions reflect a popular view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revealing the inherent popular idea of maintaining order and balance through the harmony of Yin and Yang. In particular, it clearly shows how common people try to fight off Dokkebi possessing the Yin energy, with the means of ‘a horse, a white color and the left side’that represents the Yang energy and holiness.
    Fourthly, given the popular ambivalence toward Dokkebi, people regard Dokkebi as a subject to make use of and be friends with as well as to fight off. Therefore, people construct the plot of superstitions in the forms of ‘taboo, handling and prevention’in an effort to find ways to make use of Dokkebi and fight them off at the right time.
    For the functions of oral narratives, superstitions are the subject matter of Dokkebi stories and determine the narrative structures. It is noticeable that oral narratives of Dokkebi stories are structured centering around a main superstition and give birth to their subtypes and different versions by introducing additional superstitions. It is characteristic of Dokkebi stories that superstitions are used as the medium for the stories to be born, circulated and spread around. Superstitions in Dokkebi folktales are an essential part of the oral narratives,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Dokkebi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