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컬트 영화 「파묘」 속 일본 정령관 -역사적 상징과 문화적 갈등을 중심으로- (The Japanese Spirit Worldview in the Occult Film “Exorcism Grave(Pamyoh)”
–Focusing on Historical Symbolism and Cultural Conflic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오컬트 영화 「파묘」 속 일본 정령관 -역사적 상징과 문화적 갈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7호 / 261 ~ 285페이지
    · 저자명 : 최영철

    초록

    본고는 장재현 감독의 영화 「파묘」에 나타난 일본 정령 ‘여우’와 ‘오니’를 중심으로 한·일 간 역사적·문화적 갈등의 상징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파 묘」는 단순한 오컬트적 공포 요소를 넘어, 일제강점기 일본의 식민 통치와 문 화적 침탈을 은유하며 한국인의 역사적 상처와 민족 정체성을 조명하는 서사 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일본 애니미즘에서 상서롭고 불길한 이중적 존재인 ‘여 우’는 영화 속에서 무덤을 지키는 정령으로 등장하여 파묘를 시도하는 인간들 에게 재앙을 예고하며, 일제강점기 문화 침탈의 상징으로 기능한다. 이와 함 께, 일본 다이묘 정령인 ‘오니’는 일본의 신사 정책과 연관된 식민지배의 잔재 로, 쇠말뚝을 통해 한반도의 지맥을 끊으려 했던 일본 제국주의의 풍수 침탈 을 상징적으로 재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영화 속 정령적 상징을 분석함으로써, 영화 「파묘」 가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제시하며, 역사적 갈등을 재조명하고 한국인의 민족 정체성 회복을 다루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현대 사 회에서 여전히 유효한 한·일 양국의 역사적 기억과 갈등이 문화 콘텐츠를 통 해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의적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화 「파묘」는 단순한 오컬트 장르를 넘어 이와 같은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는데 중 요한 매개체로서 기능하였다. 또한, 다이묘 정령인 ‘오니’를 통해서는 일본 신 사 정책과 연관된 식민지배의 잔재로서, 한국의 민족적 정체성과 전통을 억압 했던 일본의 의도를 상징적으로 재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령적 상 징은 쇠말뚝으로 백두대간의 지맥을 끊으려 했던 일본의 풍수 침탈을 암시하 며, 일본 제국주의가 남긴 상처를 현재적 시점에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였음 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 「파묘」가 오컬트적 공포를 넘어 역사적 · 문화 적 갈등을 다루고 있음을 밝히고, 일본의 고전 문헌과 일제강점기 신사정책에 대한 고찰, 그리고 ‘여우’와 ‘오니’의 상징적 분석을 통해 한일 관계의 문화적 충돌을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시의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sm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Japanese spirits of the “fox” and “oni” depicted in director Jang Jae-hyun’s film “Exorcism Grave (Pamyoh)”. Beyond mere occult horror elements, Exorcism Grave carries a narrative meaning that metaphorically highlights Korea’s historical wounds and national identity through references to Japanese colonial rule and cultural usurpation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In Japanese animism, the fox—a dualistic being that can be both auspicious and ominous—appears as a spirit guarding the grave in the film, foreshadowing disaster for those attempting to exhume it, thereby symbolizing Japan’s cultural encroachment during the colonial era. Meanwhile, the daimyo spirit “oni” is portrayed as a remnant of colonial rule linked to Japan’s shrine policy, symbolically reenacting Japanese imperialist attempts to sever the Korean Peninsula’s geomantic energy lines through iron stakes.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spiritual symbols in the film,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Exorcism Grave offers a critical reflection on Japanese imperialism, reinterprets historical conflicts, and explores the restoration of Korean national identity. This reflects the need for timely discussions on how historical memories and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continue to be reinterpreted through cultural content in modern society. The film Exorcism Grave, beyond the mere occult genre, served as a significant medium to form such cultural discourse. Additionally, the daimyo spirit “oni”, associated with Japan’s shrine policy, symbolizes Japan’s attempts to suppress Korea’s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 thereby recalling Japan’s historical wounds inflicted through geomantic infiltration—illustrated by the symbolic use of iron stakes to sever Korea’s Baekdudaegan mountain range.
    This study reveals how Exorcism Grave addresses historical and cultural conflicts beyond occult horror, highlighting its relevance through an examination of Japanese classical texts, Japan’s shrine polic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 symbolic analysis of the ‘fox’ and ‘oni’, re-illuminating the cultural clashes in Korea-Japan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