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사(한국사) 교과서 속 <민족> 서술의 변화와 그 배경 (Nation in Korean History Textbooks:Tendencies in Descrip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4.12
34P 미리보기
국사(한국사) 교과서 속 &lt;민족&gt; 서술의 변화와 그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27권 / 149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나연

    초록

    우리는 ‘민족(民族)’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고 사용하고 있으나, 정작 ‘민족’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통념적인 ‘민족’은 추상적‧관념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역사교육 본연의 목적보다는 시대 상황이 초래한 정치적 목적에 의해 이용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민족’에 대한 개념 정의와 형성 시기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는 교과서에 충실히 반영되지 못했고, 일부 반영된 부분도 잘못된 학설에 의한 개념의 오류와 이데올로기적인 서술을 무비판적으로 답습하였다. 최근에는 이러한 서술조차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민족에 관련된 서술이 대폭 축소되거나 삭제되는 수준에 이르렀다. 현재 우리는 남북통일과 다문화 사회의 통합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으며, 세계화의 흐름 속에 있다. 이런 사회 변화와는 달리, 교과서의 서술은 여전히 우리 민족의 우수성과 유구(悠久)함 및 단일민족(單一民族)임을 강조하여 자칫 배타적인 역사의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최근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서술은 상당 부분 사라졌으나, 오히려 민족에 관련된 서술을 지나치게 소략하여 ‘민족’의 실체에 대한 고민조차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반영된 한국 민족 형성에 관련된 서술을 분석하여, 서술의 문제점과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의 현실과 괴리감이 큰 역사교육에서의 민족사 교육의 현 주소를 인식하고,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Descriptions regarding nation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rom 1962 to 2011 can be summarized to have four tendencies as follows.
    First, the terms - nation, race, and ethnic group - are not clearly differentiated, but are presented to be one same concept and used interchangeably. According to the race classification which divides people into white, yellow, and black races, Korean is the yellow race. However, studies have already shown that such a simple race classification is invalid. Thus, it is problematic that such description is still us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Second, nations are classified by language, such as Ural-Altaic or Altaic language. As the theories regarding nation have not been firmly established, such a vague description of nation can rather cause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origin of nation.
    Third, there is a problem in the paradigm that descriptions regarding nation just follow the old theories that are inaccurate, instead of incorporating new study findings in the field, and are based on subjective descriptions rather than scientific evidence, providing ambiguous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nation. Korean nation, in particular, is described that it originated from a single root, a single ancestor.
    Fourth, as a shift in the type of archeological relics is regarded as a replacement of ethnic group, a change in the type of the excavated earthenwares is seen as an inflow of another ethnic group. However, a shift in the earthenwares does not necessarily mean a replacement of ethnic group. Therefore, it is problematic to assert that a shift in archeological relics is same as a replacement of ethnic group.
    So far, education regarding nation through Korean history textbooks has kept the consistent perspective of national history.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s regarding nation have either followed some inaccurate theories of the old textbooks or reflected a political ideology of the time, failing to incorporate updated study findings achieved in the field. Even when there were changes in the descriptions by time period, such changes were significantly subjected to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imes.
    Textbooks that are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should present descriptions based on specific, accurate evidence and the true nature of Korean nation rather than the ideology that emphasizes national superiority, glory of old history, or being a single-rac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